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사우디 아라비아의 석유국영기업인
<<아람코 >>

지난 달 12.11일 자국 내 타다올 증권거래소에
상장이 되었는데요.

 

사실 아람코는 2016년 부터 '비전2030' 통해 탈석유를 외치고 있었습니다. 상장을 하려면 원유가가 높아져야 하는데 그 동안 사우디는
석유가 100달러를 넘던 시기가 다시올거라
생각하고 미루게 되었습니다.

 

상장당시 원유가가 1배럴당 50달러 선이였는데
아람코가 상장하자마자
전 세계 시총 1위 기업인 애플을
단숨에 넘어서버리며 세계시총1위를
달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상장직 후
연 이틀 상한가를 치기도 했었습니다.

IPO공모가 기준으로 산정한 아람코의
기업가치는 1조7000억 달러

반면 애플은 1조3900억달러를 넘는
규모였습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아람코기업 하나가
우리나라 주식시장 코스피,코스닥 전체를
먹어도 남는 규모라는것 .

아람코의 기원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미국정부의 지원아래 합작하여
1933년 석유왕 록펠러의
'캘리포니아
스텐다드오일 ' 이 사우디 정부와
합작하여
'켈리포니아 아라비아스텐다드오일' 의
상호로 시작하게됩니다.

 

합작 비율은 5:5 이며 미국이 기술과 장비 등
자금을 지원했는데 그 당시 사우디는
석유가 매장되어있지만 뽑아올릴수 있는
기술없었기에 독자적으론 어려웠던거죠.

 

그렇게 미국기술자들의 노력으로
1938년 다란지역에서 첫 유전을 발견하고
연이어 대유전을 발견하여 세계최대의
산유회사로 성장하게 됩니다.


이 후 1944년 아라비아 아메리칸 오일 컴퍼니
Arabian American Oil company
줄임말로 ''아람코'' 바꾸게 됩니다.

1973년 서방국가들의 석유메이져 회사들로
유가가 좌지우지되는 상황속에서 사우디
왕실은 국유화게 나서게 됩니다.

그렇게 사우디는 아람코의 미국지분을
모두 매입하면서 사우디 국영기업으로
바뀌며 이름 또 한
'
사우디 아람코' 로 변경합니다.


과거 1973년 사우디는 독일출신의 미국정치가
헨리키신저와 페트로달러 체제를 약속받고
사우디의 유전을 지켜주기로 합니다.

 

미국의 정부입장에선 미국산 무기를 가장
많이사는 사우디이기때문에 석유팔아
달러받고 그 달러로 무기사주면서
달러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사우디는 유가가 계속 오르기만을 기다리다
지난달 결국 상장을 했지만 미국의
셰일가스도 기술개발로 채산성도 낮아짐에
따라 좀처럼 유가는 오르기는 힘들거같아
보이는데요.


원유는 1921년 부터 무

100년동안 쉬지않고 뽑아내고 있는데
이게 줄어들지는 않고 오히려 더 많아지는
현상이 왔습니다.

 

결국 산유국들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있기때문에 미국입장에선
유가를 떨어지게 않게끔만 유지하는걸로도
좋은 조건이 되겠지요.

 


올해 있을 트럼프의 재선 공략중 하나가
물가안정인데 유가가 오르면 물가가 상승하기때문에 트럼프는 오르는걸 막으려
할 수밖에 없고
유가는 더는 올라가기 어려워
보입니다.
중동지역 정세불안으로 원유공급이
어렵던 시절엔 아시아국가들이 비상이 걸렸지만
지금은 머 미국셰일가스가 그 빈곳을
채워주고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사우디는 원유가가 더는 안오르고 나라상황은 조여오니 차라리 주식상장해서
자금유입을 통해 나라를 먹여살려야겠다는
생각이었나 봅니다.

 

앞으로의 에너지산업의 흐름이 석유를 지나
세일가스를 통해 천연가스로 이동하고 있는
시점인데요.


앞으로의 공유경제에선 전기차들의
보급화가 높아지면서 전기차의 발전이
전통적인 석유에너지 강세시장의 끝맺음을
알려주는 시그널이 아닐까요??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 입니다

 

앞으로는 경제관련소식들도 함께
전해드리겠습니다..
경제흐름을 알아야
투자방향성을 알 수있겠죠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가 새로운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그간 중국은 자국의
엄청난 내수시장의 바탕으로 보조금지원을
통해 배터리시장을 선점해 왔었습니다

 

하지만 이제중국정부는 보조금을 줄여가고
있는데요. 이는 반도체의 뒤를 이을

배터리시장의 경쟁이 시작되었다는
신호로 보여지고있습니다.

 

중국은 그동안 친환경자동차에 당국의 적극적
정책과 더불어 막대한 보조금까지 지원해
왔는데요. 그래서 전기차판매율이
독보적으로 세계1위가 될정도로 중국의 전기차시장이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의 배터리업체들도 빠른속도로 시장을
잠식했는데요. 기술적우위보다 중국정부의
지원과 내수시장의 규모의 경제로
비정상적으로 커진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한동안 한국,일본 배터리업체들이
기술적우위에 있음에도 힘 한번 제대로
못써봤었죠. 하지만 중국정부가 보조금을
줄이면서 중국업체들의 위기가 닥치고 있는데요

 

중국정부는 지난6월부터 좀비기업퇴출을 위해
자국배터리업체에 대한 보조금지원을
줄이고 있으며 오는 2021년에는 완전히
중단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소식에 한국배터리업체들에게는 점유율을 높일
기회라는 관측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한때 중국3위 배터리업체였던
'옵티모나노' 가 파산신청을 하면서 중국
배터리업체들의 본격적인 구조조정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는거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

 

2016년 200여개
달했던 중국배터리업체는 2019년 현재
60여개로 급감하였습니다.

 

실제로 보조금정책 축소로 지난달 중국내
전기차 및 친환경차 판매량은 9만5천대로
전년동기대비 44% 감소하였습니다.

보조금이 줄어들면 소비자들은 구매를
미루게 되겠죠. 이런 상황속에서
우리한국업체에게는 호재이지 싶은데요

 

삼성SDS,LG화학,SK이노베션
국내 3사에 기회가 될것입니다.
중국업체들보다 에너지효율이 2배가까이
차이가 나며 안정성 또 한 숨은기술격차가
큰것으로 나타납니다. 최근 LG화학은
중국 난징 배터리2공장을 내달 완공하고
본격가동화를 시작합니다. 아주 절묘한 타이밍이죠

 

이렇게 바뀌는 배터리시장의 판도가 전기차를 대세로 이끄는게 아닌가 싶은데요.

수소차도 의미는 있습니다.
중장기운송용(버스,기차,배등)으로는 전기차보다
아직은 더 유리하기 때문인데요

 

전기차가 대세가 될거라는 또 다른 이유는
자동차공유 서비스 인데요.
우버 와 같은 공유업체들이 전기차로 대체될
것이며 수소차보다 전기차 부품이 더 적기 때문에
가격 및 정비,유지비 면에서 더 저렴하기 때문이죠
.

유일한 단점인 배터리 충전문제와 짧은 주행거리만
보완이 된다면 수소차 보다 전기차가 대중화에
가까워질거 같습니다.
정리를하자면
전기차배터리는 메모리반도체를 이어
한국의 미래성장동력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 한국이 놓쳐서는 안될 시장이겠죠.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블록체인및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