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무제한 양적완화를 펼치고 있는 미국연방준비제도
FED 연준에서 지난 31일 현지시간 오전
성명을 통해서
REPO(환매조건부채권) 기구를
설립해 각국 중앙은행들은 미국국채를 맡기면
국채를 담보로 달러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채권 및 금융시장의 혼란을 막기위함으로 해석되고
이는 최근 신흥국들의 미국 국채 매각을 막아
금리가 오르는것을 방지하고 추가적인
달러공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조치이다.

시장에서는 이게 호재라고 보는 분위기같은데
이게 과연 호재로 작용될지 의문이 듭니다.
좀 더 쉽게 풀이를 하자면 본이 소유한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려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거와 같다.

 

심리적 안정책 일까요??
중무역전쟁에서 중국이 미국한테 마지막카드
내민다고 했을 때 꺼낸 카드가 미국국채 였었다.
만약 국채를 매각하게 된다면 금리가 상승해
미국시장은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예전에는 중국이 국채를 팔면 받아주는
일본이나 유럽이 있어서 큰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은 그때와는 다르다는것

 

중국 및 신흥국들의 달러보유분이 부족하여
국채를 매각하게 되면 지금은 받아줄 나라가
없다는 것. 코로나로
일본은 올림픽연기되었고
도쿄봉쇄로 100조원 손실 난다고 하고
유럽도 마찬가지 재정악화로 경제는 위기상태인데
이것을 누가 떠안아주겠냐는 거다.

그런데 시장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추가적인 달러공급화의 유동성이 확보되어
시장은 안정화를 보인다??

이것은 미국은 지금 국채가 시장에 대량 풀리면
미국 자체도 재정지출이 큰 상태라 국채를
안받아주면 달러의가격은 하락하기에
지금의 경기를 지탱하는 양적완화정책이
무너지게 된다. 이게 다 달러의
훼손을 막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미국이 위험하니깐 이러한거다.
지금의 주식 및 자산시장은 안정화 되어가고
있는게 아니라 미국은 더 불안한 상황까지도
갈 수있다고 판단되기에 새로운 대책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것이다.

그렇기에 이러한 소식은 호재가 아니여서
한국시간으로 그 날밤 뉴욕증시는 4%
폭락하며 거래를 마쳤다. 그렇기에 이런 소식은 미국의 불안감을 증폭하며 위험하다는 신호라고
생각하는게 맞고 더 후반으로 갈 수록 실적이야기까지 나와주면 주가는 더 빠질수가 있고 주식시장보다 더 위험시장인 암호화폐 시장에도 자금이 빠져나갈 우려가 있으니 이번주까지는
시장을 면밀히 관찰 할 필요가 있다.

 

잠시 전제를 깔자면 비트코인 탄생배경에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중앙은행의 화폐발행권의 독점으로 무제한
찍어낼 수있는 시스템에 중앙은행 화폐의 신뢰가 깨지면서 발행주체가 없고 발행량이 제한 된
비트코인 탄생하게 되었다.



지금 10년이 넘게 비트코인 사라지지않고
아직도 거래가 되고있다
. 만약 지금의
주가가 2008년 금융위기때 처럼 빠지게 된다면
지금의 비트코인은 과연 어떻게 될까요?

만약 위의 내용처럼 경제가 위기를 맞는다면
암호화폐를 대안책으로 쓸수 있는 부분이
많아질거라 생각한다.


미국 국채는 달러표시자산이라고 한다
그렇기에 위험한 시기에 달러를 살수 있는
자산이기에 국채를 많이 매입한다.
그러면 미국은 국채를 팔아 시장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달러의공급을원할히 할 수있게된다.
그러나 미국 국채를 아무도 사주지않는다면
달러의 가치는 훼손하게 된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을 미국이 나스닥에
자산시장에 편입을 시키면 비트코인은
달러표시자산이 된다. 그렇게 되면 비트코인을
사고싶으면 달러가 있어야 되고 그러면
달러를 확보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질거고
미국은 시장에 유동성을 확보하여 달러를
공급할 수 있으면서 달러의
가치는 절하되지 않게 될것이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지난 현지시간으로 15일 백악관에서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합의에 최종서명을
하였습니다.

 

이번 합의는2018년 7월 무역전쟁이 시작된지
약 18개월만이며 사실상 전면적인 무역전쟁을
벌이던 미중과의 첫 합의이다.

 

이번 합의안은 중국이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향 후 2년간 2천억달러를
구매하기로하였으며
중국 내 미국기업들의
기술 이전 강요금지와 지적재산권보호
강화하도록 하였습니다.


또 한
금융시장을 비롯한 중국시장도 추가로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미국은 중국제품에 대해 추가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하고 기존 15% 관세를
절반으로 낮추기로 하였다.

 

미국은
중국은 농산물 수입을 늘릴려면 매년 40% 수입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어떻게 해결할지가 궁금하다 달러공급이 끊긴상태라
다른수입을 줄이던지 해야하지 않읇까 싶다


트럼프는 중국이 대규모 농산물 구매로 인해
트럼프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가의 표를 다시
끌어올려 11월 있을 대선에서
재선의 유리하게 작용되었다.

양측은 대외적으로 적대적관계로 보여지지만
서로가 얻는게 없고 필요하지 않았다면
굳이 합의를 하지 않았을거 같다.

 

미국입장에선 지난달 12.15일 부과하려했던
1650억달러에 대해 부과하게 되면
소비자물가가 올라갔을거다. 그러면
미국소비자들은 높은가격에 구매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미국의 손실이 클 수 밖에 없다

그럼 중국측은 무역이 잘 안되는게 두려운게
아니라 국내투자와 소비에 대한
기대심리가 줄어들기때문에 이번 합의는
투자자및소비자들에게 중국경제 성장의
기대심리를 안정화 시킬 수 있었다.

 


다음 2단계 합의에서 주요쟁점으로 뽑히는게
IT시장의 개방이다.

미국이 필요한건 많은인구의 중국이다.
미국은 중국시장이 개방이 되면 IT 기업들의

먹거리가 될 수 있다. 중국은 모바일인터넷 가능인구가 10억명이다.

그런데 중국의 인터넷시장개방의 가장큰문제는
통치기반이 흔들리게 된다는것이다.
중국당국은 언론을 통제하여 관리한다.
원하는 방향으로 국민들을 합심시켜야하는데
언론의 자유화가 되면 당국의 통치가 어려워진다

 


지금 미국기업들은 트럼프가 경비부양을 하려고 돈으로 기업들의 가치를 끌어올린상태라 영업이익을 내년 내후년

내놓지 못하면 미국기업들의 가치도
거품이 꺼지게 된다. 이 거품을 막기위해선
중국에서 소비를 통해 미국의 기업들은
거품이 아니란걸 증명해 보일 수 있을것이다.


중국입장에선
트럼프가 재선이 될지 안될지 모른상황에서
먼저 합의를 할 필요가 전혀 없기에

대선이 끝나기 전까지는 2단계 합의가
쉽지 않을것으로 보고있다.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지난달 미중무역합의에 도달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미중 1단계 무역합의 서명식을 오는 15일
백악관에서 열릴것이라고 트위터를 통해 알렸습니다.


아직 2단계 협상은 좀 더 기다려봐야겠습니다.
2년가까이 되버린 미중무역전쟁도
일단은 잠시 양측은 휴전상태이네요.

 

미국은 중국에 관세를 줄여주며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을 대량 수입하는걸로
합의 하였습니다.
브라질은 중국에게 옥수수로
재미좀 봤을텐데 막바지이네요.

 


미중은 2단계 협상전망은 아직 불투명해보입니다.
첨단기술과 국가보조금 등 양측이
쉽게 물러서지 않는 쟁점들이 남아있는데요.

 

 

하나 예로 미국은 5G 관련 기술을 중국으로 타겟하고 있는데 이를 중국에서 수용해주지
않는다면 이러한 첨단기술들은 썩히게 되고
기업부실로도 이어지겠죠.

현재는 스몰딜이라고 보고 빅딜까지
이어지려면 얼마나 더 걸릴까요??
경제대국들의 싸움에 새우등터지는 국가들..
이 패권경쟁이 업계에서는 가속화될거라고
내다 보고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보는 관점은 올해 최소한 1분기까지는
양측의 스몰딜이지만 합의한것으로보아
악화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블록체인및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