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한 때 국내 코로나 확진자가 0명 까지
떨어졌었지만 이태원클럽발 코로나바이러스가
재부상하며 수도권 집단감염은 쿠팡물류센터,
수도권개척교회,방문판매 '리치웨이'
탁구장,헬스클럽,요양시설 등 점점 더
번지고 있는 추세다.


신규확진자는 지난달 하루 평균치보다
2배가 늘었다고 한다. 이에 방역당국은
수도권 방역 강화조치를 무기한 연장하긴 했지만
확산세를 끊어놓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 추세라면 조만간 제가 예상하는 가을,겨울
보다 조금 더 일찍 코로나 2차 대유행이
닥칠거라 생각된다. 빠르면 7~8월
2차 대유행을 우리는 다시 맞이 할수도 있겠다.
단, 코로나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이야기다.

매스컴에서는 특히 가을까지 확산세가 지속되면
상황이 심각해질거라고 한다.
왜냐 가을환절기나 겨울은 감기환자가 증가하고
그 증상은 감기(독감)인지 코로나인지
불분명해지기 때문에 거기에 따른 검사가
밀려들어오고 그러면서 의료업계에서는
늘어나는 환자수를 현재보다 대처하는 시간이
지체 될것이라는 거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2차코로나 팬데믹 (대유행)
가능성을 경고하였다. 현재로써는 우리는
어떠한 백신 및 치료제가 제때 개발 될것이라는
보도를 믿어선 안된다.


해외 국가들 또 한 심각한 수준이다.
경제재개를 서두른 미국은 하루에만
신규확진자수가 2만명이 넘어섰고 브라질
현지시간 13일 전날보다 2만1천704명 많은
85만 514명으로 세계에서 가장많은 미국 다음으로
확진자 및 사망자수가 많다.

이 둘의 국가의 공통점은 경제재개 활동이다.
브라질은 이번달 초부터 점진적으로
경제활동을 시작한 상파울루 주에서만
17만2천명이상의 확진자와 1만명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미국 상황도 마찬가지다. 경제재개를 서두른
지역에서의 확진자 다시 급부상하며 총확진자는
2백만명을 넘어섰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에서의
2차대유행이 발생해도 경제셧다운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확진자의 급증과 코로나19의 재유행이 올것이라는
우려에 뉴욕증시는 3월 이후 최대 낙폭
기록했고 나스닥지수 또 한 49년만의
1만포인트로 다시 고점을 기록했지만 하루만에
5%이상 하락하여 9588 선에 있다.


이렇게 백신이나 치료제가 임박하지 않는
상황에서
신규확진자의 급증은 코로나의
2차 대유행이 발생할 수있다는 우려가
점점 더 깊어만 지는거 같다.

만약 백신및치료제가 개발되지않는 전제로
2차 유행이 온다면 각국은 1차때의
선제적 학습을 통해 피해가 1차때보단
상대적으로 적을적겠지만 그를 뒷받침하려면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예로 우리나라는 확진자수를 급격하게
줄일 수 있었던 시기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하게 때렸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2차유행이 온다면 세계각국은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해
초강력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펼칠것이며 이에 따라
경제셧다운
다시 한번 시장에 충격을 안겨줄 수도 있겠다.


우리정부는 코로나 치료제를 연내목표로
하고있으며 백신개발 또 한 내년 하반기로
연구지원을 할 계획이다.
MS 창업자 빌게이츠 또 한 백신개발은
1년 내 생산가능할것이라고 전했다.

사실상 올해는 어려울것으로 보이며 경기가
위축되면서 정부의 1차때의 재난지원금이
한번 더 시장에 풀리지 않는 이상 내수시장은
1차때보다 더 깊게 나락할 수도 있겠다.
아픈데 또 때리는 셈이기도 하다.


정부의 재정및통화정책이 어떠한 방향성을
그리고 있는지를 유심히 봐야한다.
한국은행의 무제한 양적완화 (RP매입) ,
정부의 긴급재난금 등. 1차 때 쓸때론 쓴
카드다. 남은 카드는 무엇일까??

그나마 1차때는 내수가 버텨주어서 피해규모가
적었던 반면에 시장에 풀리돈들이 모두 소멸된다면
중심의 중소기업 및 자영업자들이 얼마나
더 버틸수가 있겠나..


경제대국 미국으로 이야기해 보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의 남은 카드는 2장일거같다.
마이너스 금리와
MMT (현대통화이론)
이다.

연준은 그동안 무제한 양적완화와
제로금리 시행으로 통화정책은 거의 바닥일테다.
사태가 더 심화되더라도 쓸 카드는 위에
두가지 뿐이기에 트럼프가 마이너스금리
외쳐도 파월 의장은 꼼짝을 안하고 있는 이유는
더 이상쓸카드가 녹록지 않기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자산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었기에 마이너스금리까지는 반대했지만
경제쇼크가 한번더 올 때는 우선적으로
마이너스 금리를 펼치고 그때가서도 1차때처럼
은행을 통한 공급이 이제는 상위극소수층에게만
흘러가 자산시장으로 유입 돼 버블을 만들면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때문에
그 다음이 될 카드는
MMT 현대통화이론 이다.


MMT를 이야기하자면 시간이 길어지는 관계로
간단히 끝내겠다.

MMT는 경제학에서 비주류로 속하지만
지난 10년간 양적완화를 해도 인플레이션이
오지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현 가능해
질 수도 있고 세계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소시에이츠 창립자
'레이달리오' 는 금리인화와 QE보다는
돈을 찍어내 사실상 필요한곳에 뿌려주면
경제전체가 이롭고 빈부격차도 해소 될것이라며

MMT 이론에 긍정적인 모습을 비추었다.


금리인하가 될수록 빈부격차의 양극화는
더 심화된다
. 일반서민들이 빌리는 돈과
기업이나 부자들이 빌리는 돈은 아주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10% 의 이익을 서로
얻는다 할지 언정 1억을 투자한 사람과
100억을 투자한 사람이 수익률은 같겠지만
수익금은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최근 미국 이란의 충돌로
유가,금의 가격과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국제적인 정치와 경제와는
땔수없는 유착관계가 있다고 하죠.

정경유착 . 그 사이에는 머니전쟁.
그래서 기축통화가 무서운 거죠.

 

내 돈을 지키려면 다른자산으로 옮겨가야하는데 중앙기관을 거치지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자산은 무엇에 가까울까요?? 금,은,원유 종이화폐 이런것들은 업고 이동하기엔 사실상 힘들죠..

 

디지털자산인 비트코인은 인터넷만 있으면
이런 불편함들이 없죠. 이와 비슷하게 국제정세
불안의 이슈화들로 비트코인은 매번 가격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어떤 관계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0년 5.22 일 비트코인의 피자데이를
기념하는 날인데요. 이 당시 비트코인의 실생화에 적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피자2판에 1만비트
거래를 성사시켰다.
커뮤니티에선 이를 기념하기위해 매년 비트코인피자데이로
지정했다. 그 후 2011년 1BTC는 1달러를
기록하고 이 후 엄청나게 상승하였다

 

또 한 2011에는 2008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 글로벌금융위기터지고 3년이 지난 시점.
유럽발 금융위기도 후속으로 터지고

금융권에대한 불신이 극에 달했던 시기였다

 

2011년 타임지에 비트코인 실리며 대외적으로 이름을 알리고 소수의 선구자들로 전파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2013년 에는
국제적으로 비트코인 알리게 된시기였다.

 

2013년에는 그렉시트 사태와 유로존 국가들의

위기가 대두화 되면서 다시한번 금융권의
긴장이 고조되던 시절.

이러한 시점에 키프로스가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사건이 벌어지게 됩니다.
키프로스의 이슈는 구제금융의 조건에
예금에 과세를 하라는 방안이었다
.


이 조건에 따르면 키프로스는 하루에 300 유로
이상은 예금인출을 제한하고 6.75~9.9% 까지
인출금액에 따라 세금을 부과한다는
내용이였다. 국민들은 인출제한 때문에
은행앞은 줄을서는 현상과 키프로스에
탈세목적으로 예금해둔 유럽등 자산가들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들로 위험화폐에 대한 대안자산으로써
비트코인이 다시한번 부각이 되었다
.


실제로2013. 3.16 키프로스가 구제금융을
받자 불과 이틀만에 비트코인가격이
45달러에서 55달러로 상승했다.
4월중순까지 최고 290달러까지 찍었었다.
이러한 국제적 정세불안이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주었었다.

 


또 한 전연준의장 벤버냉키가 암호화폐
잠재력을인정하는 발언을 한 후
비트코인은 200달러에서 단숨에 1000달러로
급상승하였다.

 

그러나 2013년 국가규제로 비트코인도
400달러선까지 하락을 감추지 못했었다.


2014에는 잘 아시다시피 일본의 마운트콕스사태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데요.
그 당시 해킹사건으로 비트코인이 분실되어
거래소 파산으로 이어지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62%급락하였다.

 

이 후 2017년 에도 중국에서 국가규제로
인해 암호화폐거래가 전면금지되었었다.
하지만 그 해 6월 일본에서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써 인정해주자 비트코인은
3배가까이 상승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렇게 2018년 1월 2만달러라는 대기록을
보이며 현재 8000달러선에서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2019년에는 중국 시진핑의 블록체인산업
육성과 암호화폐 채굴산업을 도태산업리스트에서

제외하고 페이스북의 자체 리브라코인
발행이슈도 있었다. 프랑스 및 중국의 디지털화폐
CBDC 의 발행.

 

이러한 국제적인 이슈를 조합해보면
정부에서 암호화폐를 긍정적인 신호를 보낼때와
자산시장이 불안전해질때 비트코인 가격의
영향을 미쳤었다.

</

최근 미국과 이란의
무력충돌까지... 올해들어서 더 심화되고
있는 금융장기침체 및 국제적인갈등이

 

비트코인이 금과 같은 헤지할 수 있는
자산으로 주목을 받고 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금리조절로는 온전하게 유지시킬 수없다라는 MMT(현대통화이론)
정책성과 여부에따라 암호화폐 시장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을거같다.

 

따라서 국제정세와 제도권의 합류는
비트코인을 더욱더 굳걷하게 만들어줄것이다.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블록체인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