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최근 국제금값은 역사상 처음 온스당 2000달러를
돌파하였는데요.


코로나의 장기화에 따른 세계경기침체우려와
그에 따른 각국의 대대적인 부양책의
유동성과
저금리 기조


미중간의 갈등악화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달러약세로 인한
안전피난처인 금 으로 투자유입이
급증 한거로 보여지는데요.


그리고 여기에 더해 러시아,중국 등
각국의 중앙은행들의 금 모으기에 경쟁이
생겨난 점도 금값을 끌어올리기에
한 몫했다고 본다

이러한 금은 종가 기준으로 역사상 기준으로 지난
2011년 8월 22일 온스당 1891.9달러를
기록한 국제금값은 약 9년만에 이 수치를
넘어서며 이 후 꾸준히 상승해 왔다


최근 금가격의 가파른 상승세는
한국은행이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10년물 물가연동국채 수익률이
지난 달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등 실질금리가
하락하고 달러화 가치도 약세를 보이고있고
주요국들이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지속되면서
당분간 유동성이 풍부해짐에 따라
금 가격은 당분간 중기적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또 한 앞으로
18개월간 금가격은 온스당 3000달러로
뛸것이라고 내다보고
골드만삭스 그룹은 내년까지 2300달러를 최고치로 예상했다.


이에 덩달아 은가격도 상승하고 있는데요.
귀금속의 주된 거래를 달러화로 하기에
달러약세가 은가격까지 끌어올려주었다.

은 은 금과 달리 산업 재료의 특성이 있다.
다가올 11월 미 대선에 민주당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집권할 경우
오바마 정부 때 부터 이어져온 친환경
확대정책은 바이든까지 이어질거고

세계경제가 회복국면에 접어들때 설비증설과
4차산업의 주요기술인 5G통신망에도
은이 활용되기에
산업수요가
많은 은의 가격은 다시 한번 상승을
그려줄거라 보여진다.


하지만
지난 4일(현지시간) 12월 인도분 종가기준
금값은 2021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그 후 5거래일 연속상승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였지만 6거래일만에
하락 하였습니다.


하락의 원인으로는 연일상승으로
투자자의 차익실현도 있겠지만
약세였던 달러가치가 강세로 돌아서면서
미 증시는 장중하락한 가운데 금값 또 한
신기록 행진에 제동이 붙었다.


금값 하락에는 주요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
이 날 장 중 0.8% 상승하였다.
달러가치 상승으로 금값의 랠리를
멈추게 한것으로 보여진다

달러표시자산인 금은 대부분 달러
구매하기때문에
달러가치가 상승하면
금값은 떨어지는게 통상적이다.

여기서 달러 인덱스란.
세계주요 6개국의 통화를 묶어 달러의
상대적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973년 3월 기준점 100 을 기준으로
미국연방준비제도 이사회 FRB에서 작성,발표합니다.

주요통화는 유로,일본엔화,영국파운드,
캐냐다달러,스위스프랑,스웨덴크로나가
있으며 이 중 57% 가장
많은 비중을 가지고 있는 유로화.

그 다음으로 일본엔화 파운드 순으로
가장높은 비중인 유로화의 변동을 주시한다

역사적으로 달러인덱스가 가장 낮았던 시기는
글로벌금융위기였던 2008년 70.69였고
2018년 6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가장높았던 시기는 멕시코정부가
주변남미국가까지 위기에 빠트렸던 1985년
당시 인덱스는 164.72 였다.


앞으로의 달럭인덱스는 앞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좀 더 있을거같은데요.
다가올 미국 5차경기부양책과 초저금리 유지. 중국을 비롯한 일부 주요국가들의
경제재개 소식에
대한 기대감이 달러가치하락에 상대적인
금값 상승가능성이 높아질것이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최근 대기업들의 부동산을 팔아 현금보유를 늘리고 있다고 하는데 앞으로의 사태를 대비하는
신호로 보여는데요. 기업끼리의 매각도 무시
할 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우리 또 한 제가 전에 글에서도 늘 줄 곧 이야기 하지만 현금 보유량을 늘려 다음 차례의 하락세에
기회를 잡자라는 겁니다.

주식이 최근에 다시 반등하고 있는데
주식이라는건 실물경제를 반영하지만
돈이 도는 시장이다. 예로 지금 미국이 무제한
양적완화로 시장에 돈이 풀리면서 주가를
받혀주고 있지요. 그 돈을 누가 쓰느냐는
기관과 기업들인데 이런곳에서 돈을 뺀다는건
시장의 규모는 다시 줄어드게 된다.

 

지금 비트코인의 하락도 워낙 자산시장이
안좋다보니 수반하여 주식과 흐름을 같이
하고있는데요.. 지금부터가 조바심을 버리고
잘 들어간다면 여태까지 물린것들 다
회복 할 수 있는 매수지점이 올거다.

 

미국의 주가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주가를 받혀주는 자금이 순수 미국에서의
자금이 아닌거같은게 최근 JP모건이
주주들에게 보내는 연례서한에서 이번년도에
창사 이래 처음
배당금 지급중단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JP모건은 2008년 금융위기에도 주주들에게
이윤을 배당했으며 그 어떤위기 국면에서도
배당금 지급을 미룬적이 없었다.

배당금이란 기업의 이익과 본인이 주식을
소유하고 있을 때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배당지급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지금 수익이 굉장히 낮다라는것도
있지만 가지고 있는 주식 및 자산을 매도하고
있다는 신호로 보인다는것.

그럼 미국주식들이 오르는게 과연 미국기업이나
미국쪽에서 손해를 볼거냐 아니면 거기에 투자한
우리나라 연기금이나 프랑스연기금,
노르웨이 연기금 등이 손해를 볼거냐
이것을 모르기에 같이 움직일 필요가 업겠다.

 

원유감산 이야기도 미국이 할 수없었던건
트럼프의 트위터에 미국의 일자리를 지겼다.
등 셰일가스를 감산하지 못한건 본인의
재선에도 영향을 미칠 실직자들이 늘어나는것이다

우리는 2차 하락을 기다리며 지겨봐야지 쉽게 투자를 진행 할 필요가 없다. 지금의 오름폭은
다시 반납 할 때가 한번 더 있을거라 본다.
미국은 현재 코로나 60만명을 넘어서며
세계최대 피해국이 되었다.

 

14일 현재 IMF 긴급비상 융자에 대한 요청을
한 국가는 80개국이라고 한다. 또 한
IMF는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보다
더 나쁘다고 하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의 보고서에서
''우리는 공식적으로 경기침체에 빠졌다고
선언 하고 직업을 잃게 되고 재산이 줄어 들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사태로 회복국면이 찾아오려면
1~2년을 예상한다고 한다
그러기에 섣불리
움직이는 것 보단

최소한 지금의 매수자리 보단 쌍바닥을 찍는
구간에서 1차 매수에 들어가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만약 비트코인이 선행지표로 본다면
2018년 에 이미 위기를 맞았었고 그리고 2년 후
전 세계를 극심한 공포와 경제충격을 주는
자산시장의 위기가 오고있다.

시그널 자체로는 자산시장 중 암호화폐 시장에서
먼저 맛을 봤고 실물경제위기로 전이가 됐다
그럼 다음의 반등은 어떤곳에 가장빠르게
돌아갈까?

 

그것은 암호화폐 시장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왜냐 사실은 실물경기와는
상관이 없다고 보고 실적도 나타나지도 않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가격상승 요인은 유동성이다.

 

시장은 코로나로 인해서 유동성은 계속
남아있게 되고 유럽에도 재정지출을 더 푼다는
소식도 있다.
지금의 주식은 간단하게
머가 문제냐면 기업들의 실적은 없는데
돈으로 주가는 상승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로 암호화폐 시장의 덕을
볼 만한건 디지털화폐(CBDC) 개발
가속화 한다는 등 인식의 전환의 시작점이
온 셈이다. 거기에 시장유동성까지..
하반기 이후 부터는 규제완화 가능성에
추가로 계좌까지 열려주면 진짜 투더문 갈거다.

그렇기에 V자반등의 국면에서
스타트를 끊는건 암호화폐 라고 본다.

지금은 여전히 하락가능성을 열어두고
위기를 기회로 생각하고 기다리고 기다려서
최적의 타이밍을 봐야 할 때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