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업체인
비트메인의 우지한의 복귀가 시작되었다.


지난 15일 공식사이트를 통해 비트메인의
중국베이징 지사인 ' 베이징 비트메인은 당국으로부터 새로운 영업허가를 발급받았다.

초기 공동대표였던 우지한과 좐커탄.
사실 이 둘 사이의 경영권 다툼은
지난 해 11월 일선에서 물러나 있던 우지한이
복귀하면서 붉어지게 되었습니다.

우지한은 좐커탄을 모든지위를 박탈하고 대표자리에서도 퇴임시키며1인체제 운영을
굳히게 되는데

이에 반발에 좐커탄은 당국의 비트메인
대표직을 신청했고 이를 받아들여
대표직을 회복하게 되었다.

우지한 측근은 법인대표 변경을 요구하면서
5차례 기각끝에 승인을 받아내었다


그렇다면 우지한의 복귀로 인해
앞으로의 비트코인캐시의 가격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까?


그전에 올해 비트메인은 나스닥 상장에 박차를
가하던 중 내부갈등이 심해지고 그 사이
미국이 중국기업들에게 압박을 가하면서
중국기업들의 나스닥 상장은 사실상
매우 어려워지게 되었다.

하지만 우지한측은 다시 대표로 오면서
들어가려면 다른것보다 비트코인캐시의
가격상승을 주도해야만이 본인의
입지가 더욱더 견고하게 밀어붙일 수 있을거다

비트코인캐시는 메이져 알트코인 중
가격상승이 다른것들에 비해 상당히
많이 못올랐고 이번 우지한 계기로인해
비트코인이 상승기류를 타면
비트코인캐시 가격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겠다.

또 한 잊지말아야 할건 비트코인SV까지도
같이매수를 해야한다는 점이다.


비트코인캐시에서 하드포크(분리된)
비트코인SV이기때문에
둘의 가격을 수반하여야 한다.

비트코인캐시의 자금이 나눠졌기
때문에 매수를 진행하려면
SV까지 같이 하는게 좋다.


그리고 11월 15일 예정인 비트코인캐시의
하드포크.

양하이포가 이끄는 '비트코인캣'이
나온다는 소식이 있는데 확정적이지는 않다.
비트코인캐시에는 3개의 핵심 클라이언트가
있는데 ABC,BCHN,비트코인 언리미티드 등

이 중 하드포크를 주장하는건 ABC진영 쪽
나머지는 하드포크 반대입장을 취하고 있다.

여기소속된 마이너들이 대부분 하드포크
반대입장을 내세우고 있어서 하드포크가
쉽지 많을 테다.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 된 코인들은
향후 상폐될거라는 말들을 하는데
그 중 비트코인캐시는 채굴기 사업을
계속적으로 하고있고


원래 비트코인캐시와 SV는 채굴기를
사는 사람에게 보상으로 얻어내는 코인이다.


채굴산업이 계속커진다 가정한다면
비트코인캐시,SV도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기때문에 사실은 필요없지는 않지만
비트코인의 채굴이 끝나는 시점이 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겠다.


그리고 최근 리플 소식인데요.
일본 디지털 금융청에 SBI홀딩스 회장이
경제고문으로 들어가면서
리플이 세계적으로 송금서비에
사용될거라는 설만 있는데요.


현재는 시범서비스만 진행중이긴 한데
일본기업들이 디지털금융청으로 가면서
새로운 플랫폼 및 결제,송금서비스를
하겠다는 뜻으로 비추어진다.

앞서 SBI홀딩스의 회장이 경제고문으로
들어갔다는거는 리플송금서비스가
사용될 확률이 상당히 높아졌다.

그러기엔 전망은 좋은데 가격이 그에반해
상승여력은 적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일본의 금융기업 SBI홀딩스가 일본 최초로
암호화폐 펀드상품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금융지주회사인 SBI는 일본 소프트뱅크
99년 투자로 설립되면서
2006년 8월2일 부로 지분이 전부
매각되면서 독립하였다. 하지만 아직도
협력관계를 유지하는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지주회사의 펀드를 만드는건
정부의 정책방향이 결정되지않으면 사실상
할 수가 없다.

SBI홀딩스는 다가올 여름에 암호화폐 펀드를
시작할 예정이며 투자자대상은 개인 투자자이다.
구성 비율은
리플50% 비트코인30%
이더리움20% 이다.


SBI홀딩스의 키타오 회장은
''전 세계 디지털금융이 가속화되고
암호화폐 펀드를 통해 잠재수요에
부응하겠다고 전했다.''

리플 비중이 높은것은 아무래도 리플지지자인
키타호 회장과 리플사와 SBI홀딩스의
합작사인 '리플아시아' 를 설립했기 때문일거다


이러한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를 금융권에서
취급하는것이 중요한게 예로
리플 비중이 50% 상품이기에 리플을
매입해서 실제로 보유를 해야한다.

이러한 은행권에서 암호화폐시장 참여가
대량의 매수와 홀딩으로 이어지기에
호재로 볼 수 있겠다.

금융지주회사에서 암호화폐 펀드 출시를
준비한다는건 미국 등 다른국가에서도
암호화폐 상품 출시 가능성이 생긴다
.

리플,비트코인,이더리움 이렇게 보면
암호화폐 시총 1위부터 3위까지 코인이다.
결국 메이져코인으로 펀드상품을 만들고
상품을 만든 기업은 암호화폐를
매입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중국을 보면 당국에서
디지털화폐DCEP 발행시
많은 거래를 위해 암호화폐를 연동하여
지원 할 수도
있는데요 중국에서도 이러한 금융상품을
출시 가능성을 기대해봐도 좋겠다.

만약 중국에서 출시가 된다면 중국코인
트론,네오,온톨로지,이오스,비체인,퀀텀
상품 포트폴리오에 구성될 수있기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일본 금융대기업 SBI 홀딩스는 지난 달 27일
지지닷컴와의 인터뷰에서 SBI 홀딩스의
CEO 요시타카 기타오는 증권형 토큰공개
'STO'보급을 6~7월 출시 목표를 밝혔다.

새로운 자금조달 수단인 STO를 여러증권와
STO를 위한 민간거래소를 설립할 것이라고 했다'

SBI홀딩스는 일본 금융청의 인가를 얻어
올 해안에 거래개시를 목표로 하고있다.

SBI는 지난해10월 암호화폐 업계의 건전한
발전을 목적으로 SBI증권,다이아증권,
노무라증권,카부닷컴증권,모넥스증권,
라쿠텐증권의 일본증권 6개사가 STO기반
자금조달 시장을 발전시키기위해
'일본사단법인 일본STO협회를 설립했다.
협회장은 SBI홀딩스 키타오 요시타카
회장이 맡고있다.

증권형 토큰 인 STO 는 security token offering
블록체인 기반 증권형토큰공개이다.

증권을 디지털화 시킨것이라고 이해하심 될거같고
주식에서 IPO(기업공개)와 비슷한 개념이며

 

각국의 증권법 등 규제를 따르는 형태로
증권형 토큰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채권과 주식등 유가증권을 블록체인상에
기록해 관리하는 구조이다.

 

사기와 프로젝트중단 등 만연한 ICO의 프로젝트들보다 STO는
규제당국의 투자자 보호와 건전성을
확보 할 수있지만
증권법에 적용되어 심사는굉장히 까다롭다.

2018년 진행되었던 T -ZERO 거래소가 있다.
아직 시장에 풀리지는 않았지만 그 당시 굉장히
각광받으며 많은 이더리움을 통해 자금을
모은걸로 알고있다. 필자 또 한 투자했었다.

 

SBI는 암호화폐 XRP발행사인 국제금융송금업체 '리플' 기업과 공동으로 'SBI리플아시아 '
설립하였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