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주식은 실적을 보고 투자하면 되지만
비트코인은 자금이 들어오느냐
전체시총이 불어나느냐 들어오면
가격상승으로 이어진다.


비트코인처럼 위험 자산이 먼저 선반등하면 비트코인역시도 암호화폐 시장에도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예로 어제 오전 나스닥선물이 오르고
그날 밤 미증시는 상승을 그렸다.
또 한 국내증시도 하락후 오르기 시작했다

그럼 비트코인 반등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였다.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증시폭락시카고
기관만 이용하는 시카고 상품거래소
CME
비트코인선물거래량 천억원가량 급감했다.
선물거래량이 가장많을 때
이번년도 비트코인
가격도 가장높았었다.

그러나 2월 하순 미국주식의 기록적인 폭락으로
선물거래량도 큰 폭으로 하락을 했다.

사람들은 경기가 어려우면 가장 가벼운 자산부터
팔기 되어있다. 이런걸 빗대어 볼 때
상대적으로 위험자산인 비트코인부터 던지기
시작한다. 비트코인자금에 대해 기관의 움직임을
보려면 기관만 가능한 CME로 확인 할 수가 있다.

 

그래서 비트코인현물시장보다 앞서
기관들은 선물시장에서 팔고 있었다는거다.
국내증시 역시 외인들은 파는데 개인들은
사고 있었던처럼.

이미 비트코인은 2월중순 일거래량 1조천억원어치터치 후 천억원까지 떨어졌었다.

그럼 비트코인가격의 하락은 암호화폐가
금융시장의 제도권으로 들어간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기관이 선물거래소에서
냅다 빠지면서 가격하락의 시그널이 보였다.

비트코인은 어제 바이낸스 기준 3780달러선
까지 찍고 바로 5천달러 초중반대로 반등해주었다.
이 반등은 그전과는 다른게 내부적요인이
아니라 제어할 수 없는 외부요인이
찾아 온것이다. 그러기에 모든 자산은
붕괴되고 안전자산이라고 여겼던 금마져
가격은하락하며 오로지 현금확보였다.

 

그럼 외부적요인 코로나 사태의 진정세를
보이던지 재정정책이 지금보다 더세게
때려버리면 자산시장이 급회복 할거같지만
시장에 돈을 푼다고 해서 이게 과연
유지가 될지 의심스럽다.


경제문제와 다른 본인들의 건강상태와
전염되지않기위해 마스크 구입과
위생, 사회활동을 멈추면서 식량확보사재기
이런것들이 우선한다.



강남아파트값도 현재는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미국 내 코로나의 확산이 계속 번지게 되면
자산시장이 회복하더라도 등락을 반복하며
계단식 하락이 예상된다.

지금은 현금확보가 우선인듯하다.
금보다 건강이다. 그러니 자산을 불리기보다
내 건강을 지키려면 무조건
현금(달러)이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현재 미국주식시장의 규모는
2019년는 말 기준으로
34조4520달러 라고 합니다.
미 연준의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3월 2일 5%넘게
폭등했다가 다음날 3일은 2.9% 떨어졌습니다
4일에는 전 세계 돈풀기 공조가 본격화되자
4%이상 오르더니 다음날5일은
다시 3%넘게 떨어졌다.

 

6일 다우지수는 하루
1000포인트 가량 등락하는 등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여주었다. 이 시기 금값은 같은기간
6.5% 올랐습니
다. 뉴욕상업거래소
온스(31.1g)당 1666.4달러에 마감한 금값은
7년래 가격이라는 2월24일 종가
1672.4달러 바짝 다가섰으며 현재는
1640달러 정도이다.

미국다우지수 등 주요국 증시하락과
채권금리하락, 미연준의 깜짝 금리인하 단행으로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지속되고 있는듯하다.

금은 상품화폐이다. 1971년 미국이 발표한
'닉슨쇼크'
로 인해 금본위제 폐지로 지금의 신용화폐제도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1971년 베트남전쟁에서 미국은 전쟁을 통해
많은 비용을 지출하였고 국고가 바닥을
드러내자 더이상 달러를 금으로 스왑해주지
않겠다고 닉슨 대통령은 선언 합니다

 

그 후 미국과 사우디와의
페트로달러체제를 비공식
계약을 통해 다시 달러는 날개를 달기 시작하며
무제한으로 찍어내기 시작합니다.

증시가 불안하면 이같은 구조이기 때문이기에
금값이 오릅니다. 시장에 돈이 풀리면
한정된 상품인 금값이 오르게 되는거죠
.


근데 2월말에 주가와 금과 같이 떨어졌을 때를 보면

2월 24일 금값이 고점을 찍고 금값이
동반하락하게 된건 코로나19 사태로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해 마련해 놓으려는
움직임이 강해진 탓이다.

 

그러니깐 금을 가지고
있다가도 우리가 필요한것들을 사고 거래하기
위해서는 결국 돈이 필요하기 때문인거다.
금을 가지고 이동하면서 거래하기도 어렵고
그때마다 무게를 정확히 잴 수없지 않나..

이것도 불안하고 저것도 불안하고 현금이다.
현금을 쟁여놓고 있으니 시장에서 돈이 사라지는
셈이다. 그야말로 경색국면에 접어든것.

금값은 최근 경제 위기라고 생각하니 떨어졌다가
연준이 금리인하발표와 주요국들의 공조가
다시금 금값을 회복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풀린돈때문에 인플레이션 상황이
나타날꺼 같아 금값회복에도 영향을 준거같다.

 

그럼 비트코인 흐름은 어땠을까요?
2.25일부터 나타난 금값과 함께
무너졌다가 3.2일부터
8500달러에서 9100달러로 회복하였다.
아직 비트코인은 디지털금 의 지위를
얻지못했기에 금값이 오르는만큼 같이
크게 오르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암호화폐 특금법 국회통과로 금융당국의 제도권으로 들어오게
되었고 디지털 금이라는 한정된 상품으로 생각하는
시장 참여자들이 늘고 있고 미국 암호화폐
시장의 흐름과 기관투자자들의 진입, 일본에서 규제를 통한 합법화 등

세계인구의 반정도가 금융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 이러한 것을 고려해 장기적으로
이 암호화폐 시장 디지털자산은 서로간의
쉽게 주고받고 거래할 수 있는 날이
머지 않아 올거라는건 분명해보인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