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그렉시트'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01.10 국제정세와 제도권합류의 따른 비트코인가격역사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최근 미국 이란의 충돌로
유가,금의 가격과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렇게 국제적인 정치와 경제와는
땔수없는 유착관계가 있다고 하죠.

정경유착 . 그 사이에는 머니전쟁.
그래서 기축통화가 무서운 거죠.

 

내 돈을 지키려면 다른자산으로 옮겨가야하는데 중앙기관을 거치지않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자산은 무엇에 가까울까요?? 금,은,원유 종이화폐 이런것들은 업고 이동하기엔 사실상 힘들죠..

 

디지털자산인 비트코인은 인터넷만 있으면
이런 불편함들이 없죠. 이와 비슷하게 국제정세
불안의 이슈화들로 비트코인은 매번 가격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어떤 관계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0년 5.22 일 비트코인의 피자데이를
기념하는 날인데요. 이 당시 비트코인의 실생화에 적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피자2판에 1만비트
거래를 성사시켰다.
커뮤니티에선 이를 기념하기위해 매년 비트코인피자데이로
지정했다. 그 후 2011년 1BTC는 1달러를
기록하고 이 후 엄청나게 상승하였다

 

또 한 2011에는 2008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 글로벌금융위기터지고 3년이 지난 시점.
유럽발 금융위기도 후속으로 터지고

금융권에대한 불신이 극에 달했던 시기였다

 

2011년 타임지에 비트코인 실리며 대외적으로 이름을 알리고 소수의 선구자들로 전파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2013년 에는
국제적으로 비트코인 알리게 된시기였다.

 

2013년에는 그렉시트 사태와 유로존 국가들의

위기가 대두화 되면서 다시한번 금융권의
긴장이 고조되던 시절.

이러한 시점에 키프로스가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사건이 벌어지게 됩니다.
키프로스의 이슈는 구제금융의 조건에
예금에 과세를 하라는 방안이었다
.


이 조건에 따르면 키프로스는 하루에 300 유로
이상은 예금인출을 제한하고 6.75~9.9% 까지
인출금액에 따라 세금을 부과한다는
내용이였다. 국민들은 인출제한 때문에
은행앞은 줄을서는 현상과 키프로스에
탈세목적으로 예금해둔 유럽등 자산가들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들로 위험화폐에 대한 대안자산으로써
비트코인이 다시한번 부각이 되었다
.


실제로2013. 3.16 키프로스가 구제금융을
받자 불과 이틀만에 비트코인가격이
45달러에서 55달러로 상승했다.
4월중순까지 최고 290달러까지 찍었었다.
이러한 국제적 정세불안이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주었었다.

 


또 한 전연준의장 벤버냉키가 암호화폐
잠재력을인정하는 발언을 한 후
비트코인은 200달러에서 단숨에 1000달러로
급상승하였다.

 

그러나 2013년 국가규제로 비트코인도
400달러선까지 하락을 감추지 못했었다.


2014에는 잘 아시다시피 일본의 마운트콕스사태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데요.
그 당시 해킹사건으로 비트코인이 분실되어
거래소 파산으로 이어지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62%급락하였다.

 

이 후 2017년 에도 중국에서 국가규제로
인해 암호화폐거래가 전면금지되었었다.
하지만 그 해 6월 일본에서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써 인정해주자 비트코인은
3배가까이 상승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렇게 2018년 1월 2만달러라는 대기록을
보이며 현재 8000달러선에서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2019년에는 중국 시진핑의 블록체인산업
육성과 암호화폐 채굴산업을 도태산업리스트에서

제외하고 페이스북의 자체 리브라코인
발행이슈도 있었다. 프랑스 및 중국의 디지털화폐
CBDC 의 발행.

 

이러한 국제적인 이슈를 조합해보면
정부에서 암호화폐를 긍정적인 신호를 보낼때와
자산시장이 불안전해질때 비트코인 가격의
영향을 미쳤었다.

</

최근 미국과 이란의
무력충돌까지... 올해들어서 더 심화되고
있는 금융장기침체 및 국제적인갈등이

 

비트코인이 금과 같은 헤지할 수 있는
자산으로 주목을 받고 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금리조절로는 온전하게 유지시킬 수없다라는 MMT(현대통화이론)
정책성과 여부에따라 암호화폐 시장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을거같다.

 

따라서 국제정세와 제도권의 합류는
비트코인을 더욱더 굳걷하게 만들어줄것이다.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블록체인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