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곡물상승'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08.14 디플레이션 속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진다. 미국금리인상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미국 현지시간 13일
우리나라시간으로는 새벽3시경
미국 국채금리가 상승했는데요.

시장은 인플레이션에 반응을
하는 걸까요?


10년물 미국국채금리는 0.73% 로
전일 같은시각 0.69% 보다 높아졌고
2년물 국채금리 또 한 0.17% 로
전일 같은 시각대의 0.16% 보다 높아졌습니다.

이렇게 되면 증시는 조정장세로
들어갈 가능성이 생기는데요.


오늘 코스피는 10거래일만에 하락세
코스닥은 다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게 지속적인 하락기조로 이어질 지
단기적인 하락일지 아직은 답을
찾지 못하고 있을때 입니다.

지금 금값이 빠지면서 주식시장도 같이
빠지고 모습인데 통상적으로는
디커플링으로 가는데 그만한 이유로는
현재는 자산투자를 하나로 보고있다고 판단.


지금은 디플레이션속에 있다보니 이거나 저거나
어떤자산이든 사는게 좋다라고 생각한다.
은행에 돈을 넣어놔도 이자도 약하니깐
마이너스금리에 가깝기에 때문에
주식이나 금,부동산 사는게 맞다고
시장은 느끼고 있다.

디플레이션이 저금리를 만들면서 모든
사람들이 자산투자에 참여하고
금과 주식은 반대되는 개념인데 동일한
흐름으로 가버리고 있다.

앞서 보인것처럼
시장은 인플레이션에 슬금슬금 반응을
보이는듯 하다.

미국 소비자물가가
봉쇄완화속에
두달 연속오르고 있는데요 미국 노동부에서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 (CPI) 가
전 달 보다 0.6% 가 올랐으며 30년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미국 연준에서 물가상승률이 2% 상회하면
금리를 다시 올리것이라고 했지만 철회하였다.

사실 이 상황으로 가면 금리를 올리는게
맞지만 미국은 그렇지 않고 금리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만약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면 우리나라도
같이 인상을 하면서 외환자본유출을
막는데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가 현재는
금리인상이 어렵게 되었다

미국이 금리인상압박을 받아도 우리는
금리를 올리기 어려운건 한미 통화스와이프를
통해 재난지원금 등시장에 돈을 많이 뿌려놨다.

그런데 만약 미국이 인플레이션에 직면하면
우리 또 한 불가피해지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미국은 금리인상 안하고
우리나라는 금리를 못들어
올리게 되고 다른 재정정책을 물색해
볼 것이다.

기조적인 인플레이션에 가까워지고
여기에 주식시장은 반응을 하였다.
사실 우리가 배운건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 미국은 코로나 여파로
지난 3월부터 마이너스물가가 이어졌었다.
그럼 이렇게 수요가 줄었는데도 물가가
상승한다는것을 해석해 봐야한다.


이러면 공급적인측면에 문제가 발생했다는건데
미국,중국,유럽 등 한동안 코로나 사태로
경제셧다운이 들어갔었다


이미 한국과 중국이 공급재개에 돌입한
상태이고 미국,유럽,남미 아프리카에서
일부 가동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면 코로나 아직은 종식되지않았지만
전염속도가 더디고 방어적인 태세를
유지하면서 경제재개 활동을 시작하면서
한국과 중국에서 공급물량을 받쳐주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


미중갈등이 고조되면서 전 세계 팩토리인
중국의 무역교역을 막으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은 더 높아질 수 있겠다.


이렇게 되면 하반기에는
곡물류,육류 등 물가상승을
맞닥들어야 될지도 모른다.

미 연준은 이러한 인플레이션 까지 용인하면서 금리인상을 하지 않을것이라는 관측이다.
그러면 중국과의 무역마찰을 조금더 가져가
대선 전까지 이어가겠다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국 연준은 물가가 오르는것을
막지않고 금리인상도 당분간 없을듯 보여
유동성은 당분간 더 지속가능해져
자산가격의 상승을 끌고갈 수있을거같긴 하지만


지금의 장은 변동폭이 큰 혼조세라
들어가더라도 매도포지션을 철저히
지키는게 좋을듯 하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