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시카고 상업거래소 CME에서 현지시간
1.13 일 비트코인 옵션 상품을 출시 할 예정이다.

 

CME 홈페이지는 1.13일 비트코인 옵션 출시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었고
아직 감독기관의 승인을 받지못한 상태임을
명시 했다.
앞서 CME는 작년 9월부터
비트코인 옵션 상품 출시를 2020년 1분기까지
내놓겠다고 발표했었다.

 

이 소식을 나오고 얼마지나지 않아
NYSE의 모기업 ICE 그룹의 자회사 Bakkt
2019년 10월에 비트코인 옵션을 출시한다고
발표했었다. 그 후 Bakkt는 12.9 일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아 비트코인 옵션을
출시 하였다.
그런데 Bakkt 와는
달리 CME 에선 아직도 당국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이다.

 

확실히 Bakkt는 ICE의 자회사 거래소라
ICE그룹 내에서 뒷받침 돼주는게 크다봅니다.


앞으로의 시장이 커진다고 봤을때
Bakkt가 CME보다 영향력이 있는 거래소로 보입니다. Bakkt 는 현물인수도 방식이며
싱가포르에서는 달러로 거래할 수 있는
상품도 출시 되었습니다.

그리고 Bakkt의 전 CEO 는
ICE 그룹 회장의 와이프였으며 현재는
상원의원으로 활동중이다.

 

CME 의 비트코인 옵션 상품의 조건은
계약단위가 5BTC 이며 가격은 달러로 표시
최소가격단위는 25달러 기준이다.

거래시간은 미국중부시간으로
일요일부터 금요일 오후 5시~오후4시까지
한국시간으로는
월요일 오전 8시~ 토요일오전 7시까지다.
계약당 마지막거래일은 매월 마지막 금요일이다.

Bakkt 에게 밀리는것 같지만 시장에선 CME가 거래소가 bakkt 거래량 보다
훨씬 많다는점이다. 또 한 CME 비트코인 선물은
규제당국승인을 받은거래소 상품가운데
가장 많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Bakkt 보다
더 많다

 

 

이렇게 옵션 상품을 출시하는 이유는
선물도 마찬가지지만 일반 현물시장으로만
이 시장을 키워나갈수도 어렵고 또 한 수익을
창출하려면 누군가 매수해서 가격을 끌어올릴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점이 있다.
즉,가격이 올라야만이 수익이 나는 구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헤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자본유입력이 제한된다.

선물은 미래자산이 떨어지거나 오를거같으면
매수와 매도를 통해서 거래를 진행한다.

옵션은 콜옵션 : 미래자산의 가격이 오를거같으면
미래시점에서 살수 있는 권리
미래시점에 가격이 예상대로 오르면 콜 옵션 행사,
안오르면 콜 옵션 포기

풋옵션: 미래자산의 가격이 떨어질거같으면
미래시점에서 팔수있는 권리.
미래시점에 예상대로 가격이 떨어지면
풋 옵션 행사. 안떨어지면 풋옵션 포기

이렇게 현물이나 선물을 조합해 옵션을 거래하면
현물이나 선물에 투자한 기관들이 옵션을 통해

리스크클 헤지 할 수가 있다는 점이다.
비트코인의 극심한 가격변동성의 문제에 대한
위험관리가 가능해지며
비트코인 접근성도 높아질 수가 있다.

 

이런 옵션의 장점은 다양한 투자상품을
만들수가 있기때문에 기관투자자 입장에선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셈이다.

 

현물과 옵션에 같이 투자하면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JP모건 전략팀이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중
CME의 비트코인 옵션에 대해서 아주높은
기대를 걸고 있다고 하였다.
또 한 지난 몇일 간 CME 선물계약 미결제약정이
작년연말대비 69% 증가했는데 이는
비트코인 옵션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높은 기대감을 반영한것일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두가지 소식을 가지고 와봤는데요
첫번째,
프랑스가 2020년부터 중앙은행

발행하는 디지털화폐 CBDC
테스트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유럽국가 중 첫시도라고 합니다.
그 전에 프랑스는 페이스북의 리브라
발행에 대해서 많은 견제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CBDC를 테스트를 한다고 하는데요 발행하는 이유는 리브라의

견제도 있겠지만 결제시장의 중심축이
IT기업으로 이동하고 있고 이들 기업이
유럽국가내에 기반을 두고 있기때문에
유럽의 주권을 위협 할 가능성이 있어
그래서 IT기업들이 선점하기 전에
CBDC로 통화주권을 가져가야한다

논리로 발행한다고 합니다.
프랑스총재는 ''CBDC는 유로존 전체에
이익을 가져올것이라고 하며 디지털유로화 e-유로 로 이어질것이라
하였다.

최근 유럽에서 이슈되는게 디지털세 이야기가 나오는데 디지털세란?
매출액이 얼마이상 되는 IT기업에게
세금을 부과하겠다라는 겁니다.
이 관련해서 미국에서는 디지털세 대해
철회하지않으면 유럽에 관세를 더
붙이겠다고 반박하였다.

다음은 Bakkt 관련 소식입니다
NYSE미국증권거래소의 모기업

ICE의 산하 암호화폐거래소 Bakkt
CEO인 ''켈리 로플러''가 Bakkt CEO
사임하고 미국조지아주의 상원의원으로

임기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임기시작은 내년 2020년1월1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정상적인 사항이라면 되지않았을텐데
현재 미국조지아주 상원의원인
이삭손에게 건강상의 문제로 임기
다 채우지못하여 후임자를 서둘러서
뽑게되었으며 원래 임기종료시점은
2023년 1월이다. 조지아주의 시스템은
자기자신을 추천할수 있어서
''켈리 로플러''는 직접 조지아주
상원의원으로 나섰으며 임명권한을
가진 조지아주 주지사인
브라이언 켐프 가 후보자인 ''켈리로플러''
를 상원의원으로 지명하며 국회입성에
올라서게 되었다.
다만, 트럼프대통령은 조지아주 출신 하원의원 더그 콜린스를 마음에 두고있었기에 ''브라이언 켐프''와 뜻이

엇갈려 난한을 겪었던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쨋든 '로플러'는 내년
1월1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로플러의 상원의원 소식을 듣고
업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고 있습니다.
Bakkt CEO '출신이 상원의원으로
진출했으니 친암호화폐 관련하여
국회에서 해줄것이다' 라는 의견이 있으며

또 다른 입장은 ''이제는 국회의원 위치에
있으니 이전과는 다른 입장을 취할것이다'
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조지아주는
암호화폐관련하여 적극적인 태도였었다.
실제로 여러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조지아주를 거점으로 하고있다.
현재 이러한 상황으로 풀어볼때
''켈리 로플러'' 가 조지아주의 상원의원으로 입성했다는건 암호화폐
사업을 앞으로 더 적극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는 뜻이 아닐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되시는지요..

이상 감기조심하시구요
코인전도사 이샌' 였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블록체인및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오늘은 뉴욕증권거래소의(운영)
모기업인 ICE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
에서 출시한 비트코인 현물기반의 선물거래소 Bakkt가 내년 상반기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결제 앱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Bakkt의 CPO는 최근 블로그를 통해서
이용자가 가게에서 물건을 살 때
디지털자산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앱을 내년 상반기에 출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는 소비자앱과
가맹점 포털 개발에 힘쓰고 있다고 하였다.
첫번째 파트너스타벅스이며
같이 테스트를 진행과정에 있다고 한다.

스타벅스 경우는 지난해 5월기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모바일결제 이라고 한다. 총 2340만명이 스타벅스
앱에 내장된 선불카드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커피를 사며
이것은 애플페이나 구글페의 사용자는
1000~2000만명 사용자를
보유하는거에 반해 압도적이다.
스타벅스결제의 40% 이 앱을 통해서
결제가 된다고 한다.

그렇다보니
스타벅스가 가지고 있는 현금보유량은
2016년 기준으로 12억$ 한화로
1조원이 넘는 수준이다.
이런 스타벅스의 굉장한 영향력과 결제
서비스앱으로 앞서나가는 모습이 있기에
Bakkt 가 이런 스타벅스와 손잡고
결제 서비스를 진행 할 계획인거같습니다

예치금 같은 경우도 미국 여러중소은행을
넘는 수준이다. 사실 Bakkt 거래소
출범 했을 때 기대와는 다르게 거래량이
너무 않나와서 투자자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는데 이번  ICE 에서 정말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있구나라는 분석도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 선물만
있었던거와는 다르게 금융시장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갖출 수 있을거라는
점에 기대가 되는 때문인데요.
Bakkt 경우는 미국 뉴욕 금융감독으로부터
신탁기관으로 승인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비트코인투자 생태계
조성을 최우선목표로 제시한 상태다.

연방정부 규제하에서 거래나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 보다 차별성과 우수성을 보이고
있다. Bakkt 는 비트코인을 보관 할 수
있는 웨어하우스를 가동 하면서
디지털자산의 커스터디
(수탁형태 보관관리) 시장을 주도할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있다.

또 한 비트코인선물옵션 상품을
오는 12.9일 출시한다며 이를 위해
미국 CFTC 승인도 받았다고 한다.
CME 같은 경우는 내년 상반기쯤에
출시한다고 하는 반면에

Baktt
한 발 앞선 올해 안에 비트코인선물옵션
까지 내놓겠다고 하고 결제서비스까지
다방면에서 빠른 행보를 보이며
시장을 장악하려는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최근 시진핑블록체인의 관해 호의적발언을 하면서 엄청나게 이슈가
되고 있는데 ICE 백트거래량과
소식을 보면서
미국도 준비하고 있다라는걸
보일 수 도 있겠다.

이상 코인전도사 이샌 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