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세계 1위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인 TSMC
미국 내 공장 설립을 발표하며 업계가
들썩이고 있는데요.

 

TSMC의 미국 공장설립은 중국화웨이에 대한
2차 수출제재를 가하게 되면서 화웨이로부터
위탁을 받아 반도체를 생산한 TSMC는
거래가 끊어지면서 화웨이는 최신 5G에
중계기에 들어갈 핵심 반도체를 조달 받기
어려워지게 되면서 미중분쟁 국면과
맞물리게 되었습니다.

 

미국 상무부는 현지시간 15일 발표한
수출규정개정에서 미국의 기술과 장비를
활용해 반도체를 제조하는 해외업체들도

특정 제품을 화웨이에 공급하기위해선
미국에게 허가를 받도록 하였으며
개정안은 120일 유예기간을 거쳐 9월부터
시행하게 된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가 자국 첨단제품
생산에 대만,중국,한국 의존도가 높다는
우려에 반한 조치인듯 하다.

사실상 TSMC도 미국산 제조장비로
반도체를 생산하기에 이제는 미국정부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TSMC 발빠르게 미국내 5나노 기반
파운드리 공장설립을
내년착공해 2024년
양산계획에 있는데요.

삼성전자미국 오스틴 내 파운드리 공장이
11나노까지만 만들수있기에
추가투자를 고민하고 있을 듯하다.

 

5나노 50% 이상 물량을 미국주요업체인
애플,퀄컴,엔비디아,AMD,브로드컴 등 향후
주문이 5나노 이하 초미세 공정제품에
몰릴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삼성전자는 추가투자를
통해 5나노 라인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보여진다.

결국 이번 미국 정부가 발표한 이번제재가
중국화웨이와 대만TSMC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함 일텐데요

 

미국의 압박이 가해지면서 화웨이는 미리
부품을 쌓아놓고 대량 비축한 재고로
단기적으로 버틸것으로 예상되며
화웨이의 반도체 설계 자회사인 '하이실리콘'
이번 미국의 추가제재가 있기 전 TSMC에게
7억달러어치의 반도체 제품을
긴급 발주 한것으로 전해졌다.


TSMC는 미국주요업체 애플,엔비디아,퀄컴
뿐만 아니라 미국의 군수반도체까지
생산하고 있는데요. 결국 생산비중이 미국이
약70%이상이 될 정도이기에 미국으로
붙는거는 당연 한거 일수도 있겠다.

그간 TSMC는 미국이나 중국이나 공장설립을
피했었습니다. 둘 중 하나의 선택은
둘 중 하나의 시장을 잃는것과 같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번 코로나방역에 큰 성공을
거두며 압도적인 지지와 표심을 자극하여
집권2기를 시작한 대만 차이잉원 총통
중국의 일국양제는 거부하겠다고 밝히면서
미국의 도움을 필요로 한
친미진영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제 TSMC는 미국정부 요구에
부응하면서 국제반도체 시장에도 선택을
해야될때가 온거 같은데요.

SK하이닉스 경우 반도체 생산을
미국의 기술을 이용하지만 설계는
자체생산이기때문에 미국의 규제를 피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현재 세계반도체 생산기업 중 미국의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주요기업은 거의 없기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역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미국의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일부 이용하기에 중국수출에 미국의
승인이 필요 할 수도 있겠다.

 

또 한 중국의 매출비중이 높기에 미국에게
붙을지 중국에게 붙어야할지 골때리는
상황이 되겠다.

화웨이는 TSMC를 대체하기위해 일각에서는
삼성전자 파운드리를 선택할 수 있을거란
기대가 있는데요.

중국정부에서는 내수부양과 반도체자립을
위해
자국기업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중국파운드리업체 SMIC
22억5000만달러의 대규모투자와 기술자립
박차를 나서고 있습니다만

 

현재 SMIC 기술은
14나노에 머무르고 있고 생산능력도 부족하기에 삼성이나 TSMC를
따라오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이며
많은 시간이 필요 할듯 합니다.

화웨이가 최근 출시한 P40 pro 스마트폰에서
AP에서는 하이실리콘이 설계하고 TSMC가
생산한 기린980이 탑재되었는데요
이 칩은 7나노생산라인에서 제조되며
14나노칩이 한계인 SMIC로써는
구현 할 수 없게되죠.

결국 SMIC가 중국정부의 대규모투자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웨이입장에서는
초조할 수 밖에 없을께다. 향 후
발전된
스마트폰 생산에 차질을 빚게 할테다.

TSMC가 미국의 5나노 공장을 가동할 경우
미국반도체 기업들이 삼성전자 보다
더 많은 주문이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기에


삼성전자 역시 TSMC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미국 오스틴공장의 확장이 필수로
놓여지게 될것이며 미국정부 역시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트럼프가 원하는대로 파운드리 사업이
점차 미국쪽으로 이전 되는 모습입니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최근 중국정부는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경기침체를 극복하기위해 5G 망 구축을 필두로
신 新 인프라 설비에 대한 대대적 투자
예고 한 바 있다.

 

22일 우하오 국장은 신 인프라에 관한 설명안에는
신 인프라를 정보통신망을 기초로 하여
디지털전환,스마트업그레이드, 융합혁신 등
서비스를 위한 기초시설
이라고 정의 내리며

5G,사물인터넷IOT,공업인터넷,위성인터넷,
인공지능,클라우드,블록체인,데이터센터,
지능형 계산센터,스마트교통,스마트에너지

신 인프라 관련분야로 열거하였다.

23일에는 시진핑 주석은 5G,사물인터넷,인공지능,
공업인터넷
등 투자를 추진하면서 교통,수리,
에너지 등 전통적영역의 인프라 투자강도를
높여한다며 경제안정화를 위한 인프라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었다.

 

위에 인프라구축 내용 중 5G와 스마트시티 관련이
눈에 띄었는데요.
이 5G 경우 중국은 이미
작년 11월부터 상용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지난 말 쯤 기사에 보면 중국 이동통신 3사와
중국이동통신 인프라건설 전문사는 5G구축망
사업에 우리나라돈 약34조원 2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하였고

 

5G는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AI, 등
다양한 차세대 산업에 미치는 꼭 필요한 핵심기술이라는 점에 중국당국은 5G네트워크
구축을 가장 대표적인 신 인프라 대상으로 규정했다. 이 에 향 후 수년간 중국은 5G 구축에만
천문학적인 재원을 쏟아부을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시티에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도시에서 쓰이는 화폐이다.
바로 CBDC이다. 중국정부 전체가 바라보는
시각은 혁신기술,혁신도시에 맞춰져있는데
여기에 쓰이는 화폐는 기존에 화폐시스템과
다르다는것이다.

앞으로 중국이나 미국이 코로나이후의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산업을 전통산업이 아닌 차세대
산업인데 중국이 선택하는게 미국이 대부분
선택한다. 그리고 앞으로 기업들이 새로운 분야로
잡지 않으면 성장하지 못하게 되기때문이다.

 

그리고 차세대 산업에 중국이 인프라설비 계획에 뒷받침 되어줄 화폐로는 CBDC 디지털화폐.
미국도 비슷한 산업들로 경제성장을 이끌면서
5G에 몰아가고 있으니 미국도 CBDC.

암호화폐가 이번 인프라설비에서 새로운 뉴딜의 필두가 되지 않겠나 .. 그렇기 때문에
이번년도가 매수기회의 가장 좋은 적기가
아닐까 싶다.

역사적으로 보면 자산시장에서의 새로운
뉴딜이 열렸을 때 자산이 폭락하는 모습이 연출된다. 왜냐면 잘 살 때는 모르지만
꼭 어려운시기가 닥치고 경험하면서 얻을것들로
인한 깨우침이 앞으로의 산업 및 경제에
변화를 주게 된다는것이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