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얼마전 중국 시진핑주석의 블록체인산업에
대한 발언에 ''시진빔'' 효과  후

현재 비트코인 조정에 들어갔는데요.
앞으로 중국시장의 암호화폐 방향성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한 칼럼에서 나온
''디지털차이나가 두렵다'' 이야기가
있었다. 중국CBDC(디지털화폐)를
주목하는 이유가 15억정도의 인구
거느리는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시장이기 때문이고 중국을 대표하는

디지털기업 텐센트
(시총500조원 삼성의 2배수준)
알리바바 (시총500억 이마트의 170배)
중국디지털화폐의 미래와 파급력을
예상하기 위해서는 중국 디지털화폐가 유통 될 중국의 디지털환경
이해하는것이 중요하다라고 하며

''텐센트가 국가의 전략적 자산이다''
라는 말을 하였다.
창업자 '마화텅'은 중국최고 권력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직을 맡고있다.
기업인이지만 국가공산당에 속해있다고
볼 수 있겠다.  사실 좀 대외적인 활동을

하지않은 인물인데 여기 칼럼 내용에는
''텐센트''가 얼마나 중국
국가자본주의 체제에서 국가의 디지털 전략을 함께 설계하고 디지털생태계를
만드냐는 대한 이야기가 나오며
텐센트가 5월에 디지털중국지수보고서를
발표하며 2018년 기준 중국의 디지털
경제규모가 29조9100위안 국내총생산의
1/3 이 디지털기술로 실현됐다고 한다.

텐센트는 국가자본주의체재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직을 맡으면서
기업과 국가가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고있다.
또 100억달러 이상의
데카콘기업 등 중국대형 디지털기업을
통해서 디지털화폐를 적용한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수있다.

이미 CBDC발행은 2016년부터
준비했다고 하였다.인민일보 타임라인에
자료에 보면
2008년에는 사토시가 비트코인백서 출시
2013년에는 이더리움백서.
2015년에는 이더리움 ICO 성공
2016년부터는 베이징에서 중국인민은행
디지털화폐 세미나가 열렸었다.
그래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에 대해서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이것을 목표로 명시했다고 한다. 2017년에는 상하이 블록체인
응용연수센터를 설립해 블록체인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함.
2018년에는 항저우가 최초로 업무보고서에 블록체인이란 말을 기입했다고 합니다.
2019년에는 중국인터넷정보판 공식
블록체인 정보서비스 관련규정
발표하게 됩니.
중국은 2020년 1.1월부터 디지털화폐
발행을 공식화 하였다. 페이스북 암호화폐
리브라가 백서발표가 올해 6월이니깐
벌써 중국의 CBDC는 이미 3년앞서서
준비를 한것이다. 실질적 연구는 5년이라고 한다.

페이스북 CEO
마크저커버그 말처럼 ''우리가 움직이지
않으면 중국이 먼저 움직인다'' 처럼
시진핑은 기축 디지털 위안화의
꿈을 실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근래에 이런한 시진핑 발언에 중국계코인이 급상승 관련하여
비트코인캐시,네오,온톨로지,비체인 등 수혜를 받았었다. 현재는 비트코인이 하락하면서 조정장세에 있다.

시진핑발언 이후 전국
인민대표상무위원회에서는 암호법
통과되었습니다. 그전까지는 규제로
시장을 막았지만 이제는 암호화로 된
제품 및 서비스를 당국의 허가를 통해 가이드라인 만들어 내년 1월부터
시행을 한다는것입니다.

앞서 블록체인서비스 허가를 받은
기업중에는 채굴기업,암호화폐 관련
기업도 비트코인채굴기업 대다수
중국에 포지션되어있기에 비트코인과
암호화폐산업을 중국당국은 외면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이상 코인전도사 이샌 였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블록체인및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전해드릴 소식은 올 하반기부터
중국CBDC 발행에 언론이 뜨거운데요
시진핑 블록체인산업 육성
호의적 발언에 지속적
관심이 가고있는데요.

최근 이달 4일 중국 최대
통신업체 화웨이
(스마트폰 브랜드 글로벌 3위)
중국인민은행 산하에 있는 디지털통화
연구소와 핀테크 연구관련해서
업무협약을 맺었다. 업계에서는
화웨이가 중국에서 곧 발행할
디지털화폐 DCEP 발행의 기술적지원
나서는걸로 관측하고 있다.

그동안의 화웨이는 블록체인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왔었다.
2018.3월 하이퍼렛저와 공동개발한
'프로젝트 캘리퍼' 블록체인 성능테스트툴을 출시했었다.

2018.4월에는 하이퍼렛저 기반
서비스형 블록체인
Baas 플랫폼도 선보였다.

올해는 중국뿐만 아니라 라틴아메리카
블록체인기술 서비스를 해외수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화웨이는 역사도 깊지만 중국공산당하고도 공조하며
보호와  지원도 받고있다.
중국 한 신문보도에 따르면 익명의
화웨이 관계자가 이번화웨이와 중국인민은행 협력이 DCEP 발행
위한 블록체인 기술에 초점을 맞춘
협력이라며 얘기했다.
이미 인민은행과 화웨이는 긴밀한
협력을 맺고 있는 상태이고 실제로
화웨이를 비롯해서 알리바바,텐센트
인터넷공룡들과  4대 국유상업은행(공상,농업,건설,중국은행)
디지털화폐를 우선공급 한다는 계획이다.

인민은행 기술부문 총괄이 최근 텐센트
본사에 방문해서 인공지능 보안기술
검토에 나섰고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주도하는 핀테크 시범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안면인식 기술이 적용된
결제 시스템 개발을 추진 중이다.

인민은행이 텐센트 나 화웨이 IT기업의
힘을 빌려서 디지털통화 뿐만 아니라
스마트결제 시스템을 직접
도입을 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는 것이다

인민은행 자체로 위챗페이같은 모바일
앱이라던지 안면인식결제들을
확보 할 예정이라고 한다.

중국은 이러한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디지털화폐 발행 및 결제시스템
도입에 속도를 내고있다.

홍콩금융관리국도 인민은행과 블록체인
협력을 한다는 소식도 있다.

이상 코인전도사 이샌 였습니다.
주말 잘 보내시고 비트 떡상
가길 바래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