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원자력발전소'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02.22 UAE아랍에미리트 원전운영승인 통해 본 탈원전정책의 영향들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지난 17일 현지시간 UAE 연방원자력규제청은
'한국형 원자력 발전소' 바라카 1호기의
60년기한의 운영 허가를 최종승인하였습니다.

지난 2012년 7월 착공이후 UAE 정부측에서 안전,자국민 고급인력 양성 등을 이유로 운전시기를 수차례 연기했었으며 드디어
8년여만에 승인을 받아낸것입니다.

이 달 말부터 핵원료를 장전해 시운전을 거치고
상업운전을 시작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로써 국내원전 업계에도 얼어붙은 시장을
다시 녹여줄지 기대가 되는데요.

 

현재 문재인정부는 탈원전정책을 밀고있으면서
위축되어 온 국내원전 산업이 해외에서
한국의 원전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받으면서
향후 지속적인 해외원전 수출성과로
이어질지 주목을 받고있습니다

한편 바라카 원전 1호기의 운영허가소식에
원전 관련주 에너토크,보성파워텍,비에이치아이
등 급등하였다. 특히 에너토크는 29.96% 치솟으며
상한가를 기록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산업은 원전이 없었더라면
어려운구조였고 수출주도형국가라서
원료를 수입받아 가공해서 수출하여 외화를
벌어들이는 구조인데요.

특히 반도체 경우 저렴하고 원할한 전력수급이
경쟁력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삼성반도체 경우 국내전력소비는 삼성이
몽땅 다 쓰는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전력은 엄청나게
쓰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전산업은
국내산업에 대해 중요한 역활도 하지만
이게 잘못되어 사고로 이어지면
구소련 '체르노빌' 미국의 '스리마일'
일본의 '후쿠시마'
처럼 어마무시한 피해를
가져다 줄수도 있습니다.

 

이미 지어진 원전과 쌓여있는 핵연료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을 처리하기위해 비용이 만만치 않아
사실상 원전이 결코 싼게 아니라는 것.

그런데 아직 대안이 없기에 이것을 자연적인
상태로 돌아가기위해선 30만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파이로 프로세싱 기술을 통해 사용 후 핵원료를 재생해서 쓰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사용한 핵원료에서 고방사능
물질인 세슘,스트론튬 분리,별도 보관하여
플루토늄 등 초우라늄 물질을 분리해

소듐냉각 고속로에서 태워없애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아직은 이론상이지만
투자와 기술이 발전되면 현실 가능성이 있다.

또 한 사용한 핵원료의 수명을 30만년에서
300백년으로 단축시켜 처분장건설과
관리비부담을 크게 줄일 수가 있습니다.

 

탈원전 정책을 펼치고 있는 문재인정부
기업들의 실적악화로 이어져 두산중공업은
6년연속 순손실을 기록하며 결국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돌입하였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탈원전에 대한 대안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지 않을까요?

만약 이런 상황에 탈원전을 철회한다면
시장은 즉각적으로 뜨겁게 반응할거고
관련 기업들의 회생과 일자리가 늘어나 투자가 확대되어 노동생산성 증가하여 기업의 이윤은
높아져 경제성장에도 도움이 될것이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