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11~17일)

5월 둘째주 주요 암호화폐 가격분석입니다.
퀀트 투자 방식을 통해 고평가 된 대상과
저평가 된 대상을 찾아 투자를 결정하는
매매 전략입니다.

비트코인 10.6% 상승🔺️
이더리움 8% 상승🔺️
비트코인캐시 1.5% 상승🔺️
이오스 5.3% 상승🔺️
라이트코인 1.6% 상승🔺️

암호화폐시장 역프 -3%

한 주가 시작되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중국의 최대의 정치 행사인 양회가 오는 21일 열게 됩니다.

 

시장은 이번 양회를 통해 대규모 경기부양책
발표가능성을 꺼내들수 있다는게 크다는 점이다.

만약 부양책이 강력하게 때려준다면
암호화폐 및 자산시장에도 한번 더
상승여력이 있을거 같다.

그러나 중국이 미국과의 전면전을 펼친다면
투자시장에는 후퇴를 볼 수있겠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코로나 사태로 인한 경제적피해를
복구하고 미국과의 전면전을 피하는
정책방향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번 오는 중국양회에서 자국 디지털화폐
DCEP를 언급하게 된다면 비트코인에게는
상당히 좋은 흐름이 나오겠다.

허나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선을 긋는
내용이 나온다거나 하면 좋을 수만은 없다.
그렇기에 양회가 개최되기전까지 여러뉴스를
접하는게 좋을듯 하고 중국과 미국이
전면전에 나설것인지 피할것인지를
확인 하여 참고하세요.

현재 암호화폐는 블록체인기반의 기술적인
가치 보다 자산으로써의 의미가 강해지고있죠
현재 지표도 지속적으로 좋아보이고 있는데요

왜냐면 비트코인이 다른 메이져코인들보다
많이 오르고 있기때문인데요.

만약 반대로 알트코인들의 상승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비트코인이 약하다면
시장이 조만간 또 아래로 흔들겠구나
라는걸 참고하셔야됩니다.

 

또 한 비트코인 점유율이 현재로써는
66% 중반대에 있고 이게 만약 70% 넘어가거나
근접해진다면 그 다음 알트코인으로 가격
전이가 이뤄질 수 있겠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경기침체는 예상보다 크게
다가왔는데요. 최근 워렌버핏 형님은
항공주에 이어 은행주까지 대량
매각 하였다고 하는데 반대로 금융기관들이
힘을 못쓰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되네요.

기준금리는 0% 대까지 떨어지게 되고
구조적인 경기침체의 장기화는 기존
금융기관들이 역활을 제대로 못해주고 있기에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는걸 세계는
알고 있을것이다.

코로나 이 후의 경제는 디지털경제로
전환이 필요하게 되고 그 중 금융시스템의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 될것이라 본다.

 

그렇기에 미중간의 디지털화폐 전쟁이 우려되고
핀테크에서 벗어난 테크핀,스테이블코인,
암호화폐,DEFI 등 새로운 금융기관들의
출현이 가능케 할 것이다.

 

기존 전통금융기관들이 하지 못했던
금융서비스 중 대표적으로 미국의
페이스북 '리브라' 카카오의 클레이 같은
기업들의 참여도 높아지겠다.

페이스북은 정부와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개선하고 있고 카카오 또 한 내달 암호화폐
지갑을 출시 예정이다.

암호화폐를 이용 할 겨우 환전의 번거로움을 간소화시키고 싸이월드 처럼 우리나라에만 국한되지 않고 국제시장까지 뻗어 나갈 수
연결 고리가 되어 줄 수있겠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