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영종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03.05 미국 연준 깜짝 금리 인하 왜 해야만 했나?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미국 현지시간 3일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기준금리를 0.5% 인하를 하였습니다.

오는 18일 예정 된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외를 거치지않고 예정에 없던 특별회의를
열어 만장일치로 현 기준금리 1.50%~1.75%에서
1.00%~1.25% 로 결정짓게 되었다.

 

이는 정례회의와는 별도로 시행한 금리인하는 금융위기때인 2008년 이후 처음이며
인하폭 또 한 최대치이다.

환율은 즉각적으로 반응해주었다. 미 연준의
금리인하 발표에 달러화 약세를 반영해
하락흐름을 보여주었다.

코로나19사태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자 예상보다 더 심각하다는 시그널로 보이며
전격적인 통화완화정책으로 시장심리를
안정시키겠다는 취지로 보여진다.

 

미 연준은 금리인하 결정발표 이후 성명에서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하지만
코로나19가 경제활동의 리스크를 높이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긴급 기준금리인하는 현재 미국경제는
코로나바이러스가 깊숙히 침투했다 즉,
위기 상황이다라고 해석된다.

 

사실 오래전에는 자산시장이 작고 금융상품이
많지 않을 때는 기업들이 저금리로 돈을 싸게
빌려서 설비투자와 생산라인 구축과
새로운 사업진출
등 을 통해 이윤을 극대화 하였다.
그렇게 되면 고용률이 높아져 서민들은 돈을
벌고 그 돈으로 시장에 소비하여
경기부양을 일으켰었다.

허나 지금은 설비투자 해바야 돈이 안되니깐
주식 등 자산시장에 돈을 투자해버린다.
왜냐면 백날 물건생산해봐야
중국을 이기지못하니
공급물량을 늘릴 수가 없다. 삼성 엘지 또 한
소형디스플레이
중국기업의 저가제품의 이길 수가 없어 대형으로 넘어가고 LCD 등 가격경쟁력에
밀리다보니 더 새로운 고가의 QLED 등 이런식으로
같은 제품의 경쟁을 피하려고 한다는것이다.


그러니 주식으로 자금들이 유입 돼 버블만
키우는 셈이다. 이게 점점 시간이 지나면
이러한 자금들이 더 위험자산인 암호화폐시장까지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진다.

금리인하가능성을 연준이 지난달 보여줄때도
비트코인은 급상승으로 반응해주었다.

 

연준의 기준금리인하는 현 시점에서 경제상황이
나쁜것이 아니냐라는 우려가 있고 이 칼이
위험한게 금리인하를해서 경기부양을 한다해도
실적이 없다는게 가장 위험한거 같다.

만약에 코로나 사태가 없고 기업들이
설비및생산 투자에 쓰였다면 노동수요가 증가하고 실업률은 낮아지며 서민들은 일자를 통해 소비지출이 늘어

경기가 좋아질 수가 없는데
이놈의 코로나 땜시 소비가 줄어들거라고 판단하니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은 오지않고
주가만 올리는데 실적이 반영되지 않으니
버블이 형성되는데 터지면 규모가
만만치 않을것이다.

이러한 거품이 터지면 새로운 산업을 비롯해
새롭게 성장동력에 필요한 지역도 있을것이다. 산업에는 4차산업 중심에 대표적 기술들.

 

지역에는 중국,동남아 인접지역들. 인도는 인구만
많을 뿐이지 아직 시스템적으로는 구시대라서
어렵고 유럽은 이미 성장율이 높은 상태다.

그래서 경제성장율이 높은 중국,동남아 지역이다.
그래야 경제성장을 보다 빨리 끌어올릴수가 있기때문이다. 그럼 우리나라는 지역상
영종도 지역이 가까운 위치에 있어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되지 않을까 싶다.

앞으로 코로나사태가 진정화 된다면 중국의
움직임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을거같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