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몇일 전 신한은행은 넥슨의 지주회사 NXC
자회사 암호화폐 거래소 '
코빗' 과
합작법인 설립을 검토 중이라 밝혔다


합작법인의 지분은 코빗 30%
신한은행이 25% 를 가지고 나머지는
그 밖의 다양한 기술기업이 나눠가질 예정이다.


코빗은 국내 4대 암호화폐 거래소 가운데
가장 빨리 설립한 거래소이며 NXC가
지분의 100% 를 소유하고 있다.

현재 법인 설립을 위해 금융당국의 승인을
위해 기다리고 있으며 다양한 디지털
신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최근 공인인증서가 폐지와 탈중앙화 신원인증이
급부상하면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금융서비스를 시장에 선보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실 신한은행은 2017년 부터 블록체인
기술연구에 착수하며 '블록체인 랩' 설립했다.
이는 시중은행 중 가장 앞서나간것이였다.

지난 28일 에는 LGCNS 와 함께
CBDC 디지털화폐 발행을 위한 플랫폼을
시범구축하는 업무협약을 맺으며
블록체인 기반 소상공인 대출자격 검증시스템,
전자문서 지갑등을 개발해오며
사업을 전개해 왔다.

그러면 위의 내용을 해석해본다면
신한은행이 코빗과의 합작법인설립은
당연히 거래지원이다.

신한은 증권사도 가지고 있는 금융지주이다.
그러면 금감위에서 승인은 사실
불가능해 보이진 않는다. 결국은 해줄거다.

지금 은행권들은 라이센스를 다가지고
있고 이미 준비는 끝났다. 국민은행, 농협 등
블록체인관련 인재들을 영입해 준비하고 있다
.

그래서 암호화폐 거래지원을 은행들이 못하는게 아니라 금감위에서 승인이 나와야만이
할 수있기때문에 지금 신한은행의 이러한
코빗거래소와의 합작법인 설립 내용은
내년이후에는 승인 떨어지지 않겠나 싶다.

 


미국에는 암호화폐 거래소에게 은행라이센스를
부여했으며 대표적으로 코인베이스 거래소
그러면 은행들은 앞으로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취급한다는 이야기로 해석할 수있겠다.

은행들은 예대마진으로 수익을 내면서 운영한다.
그래서 대출을 통해 영업이익을 달성하고
그 대출을 해주려면 돈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

그러면 암호화폐 상품을 출시하려면
은행은 반드시 그와 관련된 암호화폐를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즉,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는 이야기다.


만약 선제적으로 어느 은행에서 암호화폐
상품을 취급한다면 다른 은행권들도
연이어 상품을 출시할것이다.

그러면 암호화폐 대량매입이 발생되면서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것이다.

최근 싱가폴의 최대 상업은행이며
자산운용기준 동남아 최대은행인 DBS


암호화폐 거래소 DBS 디지털익스체인지 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지털자산을 디지털경제의 미래로 보며
암호화폐 거래사업에 직접 나서게 되었다.

거래지원코인은 5종으로
비트코인,비트코인캐시,이더리움,
이더리움클래식,리플 이다.


홍콩사태로 금융지위가 흔들리면서
홍콩을 대체할 금융허브 대안으로 싱가폴
많은 글로벌기업들과 자본이 몰리고 있어
아시아지역의 금융허브로 급성장 중이다.

이렇게 시장이 점차 커질전망이기에
지금의 비트코인이 최근 많이 오르긴했지만
하락을 두려워하지 않는게 대기수요가
개인이 아닌 기관들의 참여와 수요다.

우리나라은행은 사실 국책사업과 연관이
있는 기업들이라 정부의 방향성을 모르고
이런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

정확한 시기를 모를뿐이지 가늠할 정도와
정부의 방향성을 모르고는 이렇게
선제적으로 움직임을 보여주진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비트코인 가격은 이보다 높아질게
분명하고 장기적으로 봐야한다.
암호화폐는 참고로 쪼개서 0.1개 0.01개 0.001개
등 적은자금으로도 살 수있다.


2017년 불장 때 2700만윈까지 갔던
비트코인 370만원 까지 대하락후 지금은
1500만원이 넘는다.

만약 내년부터 은행권에서 암호화폐를
취급한다면 2~3천만원가는건 아니 5천만원
가는건 큰 어려운 일이 아닌거라 본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