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코인전도사
이샌' 입니다.

벌써 12월달이 시작이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의 움직임은 아직 큰
변동성이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하나 팁을 드리자면 보통 비트가격변동성이 오는 시간이 자정
지나면 종종 오기때문에 매매 타이밍
기다리시는 분들은 참고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자 그럼 오늘 전해드릴소식은
최근 이더리움 외부관련소식과 중국후오비거래소 및 국내 신한은행블록체인 관련 소식입니다.

지난 4월, 평양에서 블록체인컨퍼러스가
있었습니다. 이더리움 재단출신
미국국적인 '버질그리피스'가  참석
했었다는 이유로 지난 11월29일 미국당국에게 체포되었다. 미국 법무부
국가안보차관 '존 디머스'는  그리피스에게 가지말라는 경고를 보냈는데 끝내
미국과 대척점에 있는 북한에 갔다.
현재 그는 평양컨퍼러스에서 블록체인
기술로 미국의 제재를 회피하는 방안을
가르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부테린'은 트위터를 통해서
규제당국과 타협해서 버질을 모른체
하지 않겠다 버질의 석방탄원서
서명하겠다 라고 하였으며 무고함을
주장했습니다. 다만, 버질은 내친구이며
이더리움재단의 소속됐었던 인물이긴 하지만 이더리움재단과 이것이 연결되는

문제는 아니다.'' 하였다.  그러면서
비탈릭은 개방성을 이야기하며

''버질그리피스가 이더리움클래식 이나
하이퍼렛저 등 프로젝트에서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 라며 중요한것은
북한에 기술을 제공하지 않았고
그저 사적인 목적은 없었을거고 블록체인
기본특성에 대해서 발표했을것이다.
라며 비탈릭은 입장을 표하며 이러한
일에 힘을 소비하기 보다는 더 큰
부패의 본질의 대해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고 당국의 태도를 비판했다.

이더리움재단과는 관련성이 없는지
시장은 가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음 소식은 중국 후오비거래소
관련 소식입니다.
중국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 가

중국당국이 추진하는 블록체인사업
합류 했다고 합니다.
12월1일 중국항저우에서 열린
제'1회 블록체인 서비스네트워크
협력파트너 포럼'에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국가정보센터가
주도하는 '블록체인네트워크서비스연맹'
에 1차 협력사로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이 BSN 연맹에는 유니온페이,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텐센트의인터넷전문은행
위뱅크 등 14곳이 합류하였다.

현재 중국정부가 암호화폐거래 및 발행을
전면금지하는 현 상황에서 특정암호화폐
거래소를 BSN연맹에 합류시킨건
이례적인 일이지만 이는 후오비중국이
암호화폐가 아닌 블록체인관하여 정부와
기업들 상대로 블록체인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핵심업무로 삼고있기
가능해 보인다. 후오비 대학교 등 교육양성기관도 운영하고 있다.

최근중국정부가 암호화폐에 대한것들은
모두 금지하고있는데 블록체인만큼은
긍정적인신호가 계속들려오고있는거보니
중국블록체인 산업이 자주혁신의 핵심기술로 글로벌시장의 주도를 이끌어갈지 기대가 됩니다..

다음 소식은 국내 대형은행인
신한은행에서 태양광발전소의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키관리서비스를 시범
적용한다고 합니다.
내용은 12월2일 신한은행은 재생에너지 데이터통합플랫폼''레디'' 거래플랫폼에
블록체인 '개인 키' 관리시스템PKMS를
시범적용하기 했으며 해당 서비스는
신한은행과 카카오 블록체인 기술계열사
'그라운드X',블록체인 기술연구소

'핵슬란트'가 공동개발 하였다.
신한은행은 개인키관리시스템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을 해서 추가로 사업을 하겠다하며 핵슬란트는 금융위원회
규제샌드박스에 블록체인핀테크 사업으로
신청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커스터디서비스를 하겠다는
의지가 보이며 기존 은행들이 하던
전통업무와 비슷하다. 즉,이용자들의
개인키를 관리하고 디지털자산보관을
하겠다는거다. 앞으로 향후 커스터디서비스가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에 피델리티나 백트Bakkt 도 이러한
부분을 시행하려는 것이다.

앞으로는 핀테크가 아닌 테크핀으로
전향이 되며 머지 않아블록체인기술위에  금융시스템이 혼합되어
새로운 시스템이 산업화 될거같다.

이상 코인전도사 이샌' 였습니다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블록체인및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