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미증시도 강력한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요몇일
나흘간 상승을 보여주었지만
예상대로 얼마못가 다시 하락하였다. 시장은
나흘간 큰 폭으로 상승한 탓에 하방압력이
있다고 했지만 그 바로 이 전글에도 적었듯이
난 아직도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또 한 다음주 주식시장은 기업들의 실적발표
있는 시기라 갈수록 주식시장은 힘들거라 보고
2차하락을 조심히 예상해본다.

 

솔직히 지금 매수하는건 좀 이르다고 생각하고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지 않는이상 미 증시가 최소 여기서 10~15%는
빠지고 다시 정부 및 연준에서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을 내놓은다면 좋을듯 하다.
돈을 막퍼주면서 사람들이 코로나의 대한 인식을
잊게 만드는 방법일까?

아직 실물경제에 대한 통계가 나오지도
않았고 현재 미국의 코로나 확진자는 중국을

넘어서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가 되었다
뉴욕 또 한 멈추었다

현재비트코인은 매수자들이 많을수록 오히려 가격이 하락하고 매수를 안해주면 받아줄
물량이 없어서 가격이 되려 안빠진다.
살짝 오른다싶으면 빠지고 이런모습이
자주 나오고 있는 중이다.

 

역으로 기관이나 고래들은 기다리고 있으면서
물어주길 바랄거다 그러다 털고 나오고..
그런데 매수여력이 약해지면 버티다못해
자기들 갖고있던 것들 다 팔고

나올수밖에 없을거다. 그러니 우리는 매수를
미루고 더 빠지는걸 보고 기다리자.

비트코인은 6천달러 밑으로 내려오지싶고
매수대기하며 관망하는 포지션을 선호한다.

탈중앙화 탈중앙화를 외치지만 현재로써는
고위험자산으로 분류되기에 실물경제가 무너지는
가운데 비트코인만 혼자 상승 한다는건
어리석은 생각일 수도 있겠다.
장기적으로 길게 보면 오르긴 오르겠지만
아직은 너무이르다는거다. 주식도 마찬가지..

 

어디가 바닥인걸까? 이제 다 온거같은데
이 코로나 사태만 지나면 어차피 어떻게든
경기회복 할건데 공포에 사고 환희에 팔아라.
우리는 이말을 지키면서 버텨주었으면 한다.

저도 봉급쟁이며 일반 서민들처럼
하루하루 살고있습니다. 그렇다고
고액연봉자도 아닙니다. 경제에서 말하는
10년만에 돌아오는 세계경제위기라고도 한다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 후 최대 위기 이다.

몇일전 글에 디지털달러대한 내용이 있는데
미 정부에서 디지털달러를 재난소득지급에
활용한다는 이야기가있었죠?
만약 은행계좌가 없는 사람들에게도
디지털계좌를 만들어 지급한다고하는데
이것은 분명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능이 필요로 할것이다 디지털지갑이라고
표현하는 곳은 현재로썬 암호화폐 시장밖에없고

 

기존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않고 돈을
받을 수 있고 통장개념으로 사용하는건
암호화폐 뿐이라는거다.

 

그러면 기존 달러와 달리 개념이 바뀌면서

암호화폐에 근접한 내용이며 사실화 된다면
암호화폐 시장엔 호재로 작용될거 같지만
아직까진 승인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하지만 이런 경제위기에서 디지털화폐 대한
내용이 언급이 될 정도면 앞으로의 전망은
밝아보인다. 그러니 지금의 공포를 즐겨야
할 때인거 같다. 경기가 회복되면 다시는
이 가격은 역사속으로 사라질 수 도 있겠다.

최근 웃도는 이야기는 KB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준비하고 있다고 하는데 사실인지는 모르겠다만
상표등록까지 하며 정부에서 지침만 내려오면
은행권쪽에서 운영을 하려나 보네요.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15일 미국뉴욕연방준비은행 미시경제데이터센터
'가계부채와 신용에 대한 2019년 4분기 보고서
따르면 미국가계부채 총금액은 1.4% 증가한
14조 150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한화로
약 1경6720조원 입니다.

 

대 침체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일때 최고치인
2008년 3분기 12조 6800억원 달러보다
1조 5000억달러가 더 많으며
이로써 미국의가계부채는 22분기 연속해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는점이다.


미국증시가 역대 최대호황과 11년째 경제는
장기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이것은 중앙은행의
돈풀기 기반한 빚으로 쌓아올린 성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가계부채증가의 주요인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지목했다. 미국가계 부채에서 가장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모기지는 전분기에 비해
1200억달러증가했고 1년전보다는 4330억달러
증가하여 9조5600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이렇게 모기지가 증가하는 이유는 미국연방준비은행이 저금리 기조를 계속해서
유지하면서 돈을 빌려도 부담이
적어졌기 때문입니다
. 가계부채만 놓고
보자면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와 비슷해보인다.

 

연준은 경기둔화를 막기위해 지난해 3차례
연속해서 금리를 내리고 올해 첫 기준금리는
동결 된 상태로 1.5%~1.75%
유지하고 있습니다

호황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경제는 실업률이
50년만에 최저수준으로 떨어진것도 대출증가에
힘을 실어준 셈이다.
직업이 생기면 대출도
수월해지지 않나요??

주택구입과 재융자가
부채가 급증하며 특히나 18세~29세 젊은층
모기지 대출증가가 2007년 이래 최고치를
이뤄 1조400억달러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가계부채증가폭 보다 심각한 부분은
젊은층중심으로 한 각종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 중 학자금 대출이
40% 가장높으며 9명중 1명꼴로 90일 연체를
넘기거나 갚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 연체는 단기 연체와 장기연체로 구분이 되는데
판단기준이 90일인데 90일이 넘어서면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 높아진다.

 

특히 문제가 되고있는것은 신용카드 연체율도
늘고있다
. 지난 해 말 신용카드 부채는
9300억달러로 3개월 전보다 460억달러
가량 급증했으며 연체율은 8.36% 상승했다.
18개월만의 최고치이며 특히 18세~29세의
신용카드 대출 장기연체비율이 8.91% 에서
9.36% 상승했다.

 

중앙은행이 시장에 돈을 풀수록 화폐가치는
평가절하되고 구매력이 부족한 개인들은
더많은 빚을 지게될것이다
. 시장에 돈이 풀릴수록 자산시장으로 유입이 되어 전통적인 소득
방식을 택한 개인들은 자산가들의 자산소득을
노동소득으로 따라갈 수가 없어 양극화는
점점 더 커지게 된다는것이다.

 

일반인들은 겨우 거주하고있는 1주택 정도소유하고 있기에 집값이 오르던지 말던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갈 수록
더이상 노동소득으로는 자산소득을 따라갈 수
없기에 빚을 지지 않고서 집한채 소유하기
어려운 상황에 접어들었다.

미국경제위기설이 불거지고 있는가운데

올 하반기 미국대선 시점으로 시장이 크게 한번
출렁일 거라는 생각이 들며 금리변동에
대해서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을거같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