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마이크로소프트'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04.10 코로나 이 후 시장변화가능성과 기본소득제 지금투자해야할까?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게이츠
한국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응을
모범사례로 언급하며 오늘 10일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및 백신개발에
협력해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이 코로나 사태가 종식되면 세상은 코로나 사태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이 올거라 생각한다.

우리나라가 비교적 세계어느국가들 보다
잘 대응을 했었는지 그럼 우리나라는
발전 모델이 무엇이였기에 잘 대처할 수
있었는지 연구를 하게 될거다.

그러면 지금의 산업구조나 경제구조의
사람들의 생각이 바뀔 수도 있겠다.

전쟁이 세상을 변화시켰듯이 전쟁에 준하는
전염병을 겪었기에 세상은 변화가 크게 올것이다.

예로 사람들을 고용해서 중국에 공장을 가동 시
사람들에게 전염병의 문제가 발생하면
생산의 차질이 생긴다 그럼 공장은 어떻게
바뀌게 될까? 무인화 자동설비로 대체할
가능성이 생긴다 그러면 대규모 실직자가
발생하게 된다. 그럼 방법은 복지정책으로
기본소득제를 시행 할수가 있다.

 

유럽은 복지가 잘 갖춰져있는 대표적인
복지 국가이다. 만약우리나라가 기본소득제로
가게 된다면 사람들의 소득수준의 차이는
지금보다 더 비슷해진다.

여기에 맞춰지는게 공유경제시스템.
특히 자동차 이 공유자동차가 우리나라와
맞지 않는게 우리나라는 자본주의로
부의 상징의 하나인 고급자동차를 소유하려는
소유욕이 강하기에 다 같은 차를 타려고
하지 않을것이다. 그런데

코로나 사태로 세상의 변화가 생기는 시점에
오면 제일 문제가 되는게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전염병이 발생하게 되면 생산의
큰차질이 생길것이라는걸 알고 있을거다.

그러면 무인화 설비가 가동하고 기본소득제가
시행되면 먹고사는데 큰 지장이 없고 소득수준이
비슷하니깐 내집소유의 생각이 강하지 않고 남들보다 잘 살수 있다는 못하게 되니
고급차량 소유욕도 감소 할거다.

 

그렇게 되면 공유경제시스템이 가능해지는
충분한 소재가 될거같다.
유럽 같은 경우는 기본소득제에 준하는 국가운영을
20년 이상 해왔다. 기본소득제로 유럽의
집값은 엄청나게 올랐다. 중국의 매입이 컸다.
중국의 땅은 국가의 소유이므로 임대로
쓰고 돌려줘야 하고 또 한 자국의 자산을
소유하면 공산국이라 뺏긴다는 생각을 하기에
외국에 부동산을 매입하는것이다.

이태리,프랑스 등 집값이 많이 올랐는데
지방집값들은 떨어지거나 폭락했다.
기본소득제로 집소유를 하지않고 빈집들이
늘어났다. 이렇게 우리나라도 기본소득제로
간다면 강남권같은 곳은 계속 오르겠지만
그 외의 지방아파트들은 오를 수가 없을것이다.

소득자체가 평균화 되면서 그 틀안에
갇히게 될거고 그러면 코로나 이후에
산업 및 경제구조가 바뀐다면 지방 아파트투자는
조심해야 할거 같다. 부동산의 투자는
완전 양분화 되어서 서울과 지방중심지 외에는
가격하락을 예상하고 있어야 한다.

부자가 되기위하여 꿈꾸는 사람들도 줄어들고
노동생산성 또 한 감소할거라는 단점도 있겠다.


우리는 그럼 투자자로서 코로나 이후 어디에
장기적투자가 적절할지 중국경제전문가
안유화 교수님의 말씀을 인용해 보았다.

어느나라시장에 투자가 적절한지는
본인이 가장 잘아는곳 으로 결정하라.
모르는곳에 투자하지마라.

 

만약 미국,중국,한국 시장에 대해 잘 안다면
미국주식시장이 경기부양을 이끌만한 기업들도 많고 중국유명 기업들도 미국시장에 있기때문이다
미국시장에 주식을 장기적으로 보유한다면
결국 우상향을 그리면서 갈것이라는거다.

반면 한국시장 및 이머징시장은 박스권이

많아서 우상향 그림이 나오지않는다 점이있다.
그래서 미국시장은 성장,가치투자가
동시에 이뤄지기에 매력이 있다.

중국은 벤처시장으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위험이 큰 만큼 수익도 크다는 점이 있다.
왜냐면 자본시장이 아직 개방이 안됐고
중앙정부가 감독하고 개입하기에 그렇다.

 

코로나 사태로 경기침체에 빠진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중국의 양적완화정책이
경기부양을 가져다 줄수있을지는 의문이다.

 

미국은 국공채매입을 통해 시장에 돈을
풀고 금리조정으로 관리가 수월해지는
반면에 이머징국가는 경제성장을 위한
금리를 낮추어야 하고 재정정책 하기위해
국채를 발행해야 하는데 금리가 낮다면
채권을 매입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나라 한국은행도 미국기준금리를
제로금리로 낮출 때 한국은행은
망설였던것이였다. 왜냐면 재정정책으로
이마저 써버리면 더이상 내밀
카드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기에 전례에 없는 재정정책을 쓴다해도
현재 깨진항아리에 손으로 발로 막고 있을뿐이지
경기회복전환으로 볼 수 없다는거다.
그래서 현재 투자는 보수적으로 생각해야한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