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폭락하는 유가를
진정시키기 위해 '유가전쟁' 중인 러시아와
사우디 간의 구도에 개입했지만 양국의
갈등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인가보다.

 

끝내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는 원유감산
책임소재를 두고 격하게 공방을 벌인끝에
오는 6일에 산유국간의 화상회의가 예정되었지만
9일로 미뤄지게 되었다.

현재 미국은 세계최대 산유국이다. 그러나
OPEC 이나 OPEC+ 에 회원국이 아니기에
세계주요산유국들이 감산에 들어간다해도
그에 따라야 할 의무가 없다는거다.

 

미국은 국가재정이 원유에 묶여있지가 않지만
러시아와 사우디경우 산업 면에서
원유에 의존하며
국가재정의 상당부분을
원유 수출을 통해 마련하고 있다.

저번글에도 재정균형유가에 대해 글을
남겼는데 사우디의 재정균형유가는 83달러
왕정을 유지하기위해 퍼주기식 복지 등의
비용이 만만치가 않다. 러시아는 예전
원유전쟁의 교육을 통해 재정균형유가를
48달러로 낮춰놓았다.

 

미국은 에너지 의존국가가 아니기에 셰일업계
몇 개 망해도 달러를 풀어서 살리면 그만이고
이번 트럼프의 경기부양책의 가장많은
수혜를 받을 기업들이 항공업과 에너지기업들이다
2014년에는 셰일원가가 더 높은 시절이었지만
국제유가 배럴당 20달러에서도 셰일산업은
망하지않고 오히려 신기술 개발 등
더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렇기에 사우디가 어려운 상황을 겪지
않을까 보는데요 이번 유가전쟁이 감산합의가
된다면 미국이 좋아질거라 생각됩니다.
감산합의가 가령 된다해도 바로 시행 될수도
없을 뿐더러 공급 대비 수요감소 까지
막을 수는 없겠다. 러시아나 사우디는
오로지 자국의 원유를 팔아서 재정적자를
보전 할 수 있을거같기에

 

유가전쟁으로 우리나라는 원유를 수입해 정제해서 파는 정유화학 산업이 발달한 나라이다.
국내수출분야에서 석유화학과 석유제품이
반도체와자동차의 뒤를 이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그래서 정제마진이 중요한데
현재 20달러선인 국제유가는 정제마진이
마이너스까지 몰린 상황이다.

사실 유가가 하락하면 가격영향으로 수요가
증가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이번 사태로
수요급감현상이 벌어져 정유사들은
사상초유의 상황을 겪고 있다. 원유 운송비
또 한 작년 초 대비 2배 상승하여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

가격이 싸진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게 아니라
수급상황에 따라 적정가격이 유지되어야한다는거다. 20달러선이 오래
지속화 된다면 국내 정유화학,조선업이
큰타격을 입을 수 있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입니다

 

한동안 국제유가는 저유가 시대를 맞이하게 됐다

지난 6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하는 OPEC과
러시아등 비OPEC+ 산유국들의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감산합의에 실패했다.

 

OPEC 및 OPEC+ 은 하루평균 150 만 배럴을
추가로 감산하는 방안을 놓고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러시아의 동의를 얻지 못하게 되었다.

 

추가 감산은 물론 이 달말 종료하는 기존
감축량에 대한 기간연장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다. 지난 7일.서부텍사스산원유 WTI는
전 거래일대비 배럴당 10.1 % 떨어진
41.28달러에 장을 마감하게 되었으며
앞서 OPEC의 추가감산에 실패했기때문이다.

원유는 우리일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국제유가 흐름에 대해 주목 해야한다.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최대 원유 수입국이다.

현재 중국은 코로나사태로

석유수요가 급감하며 이러한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으로써
중국에서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국제 유가는 20달러선으로(저유가) 붕괴
될 수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유가를 좌지우지하는 국가는
OPEC의 사우디가 아닌데요. 사우디가
과거에는 OPEC을 결성하고 오일쇼크로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기도 했는데요.

 

지금은 미국의 셰일혁명을 통해 원유시장을
좌지우지하고 에너지패권을 잡아가고 있지요
사우디는 2015년 유가급락이 시작되면서
사우디의 치킨겜에 외화보유도 점차 감소하게되었다. 2014년 11.28일
OPEC회의에서 미국셰일과의 전쟁을
선포하게 되고 사우디는 유가를 후려치기 한다.

결국 사우디는 원유손익분기점인 25달러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셰일혁명을 저지하지 못했다.
OPEC 과의 치킨게임에서 많은
셰일업자들이 파산을 하였었다.

 

그 후 2년 뒤 미국의 원유생산은 다시
활기를 찾으며 새로운기술로 채산성을
낮추기 시작했다.

한편 사우디는 석유의존국가를 탈피하기위해
사막 속 스마트도시 네옴 프로젝트,비젼펀드투자,
무기수입, 복지 등
추진하고 있었지만 돈이 부족하여 사우디의
아람코가 주식에 상장
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우디의 균형재정유가는 80달러가 넘으며
채산성 또 한 25달러로 최고수준이지만
재정지출이 심하여 경제는 어려워졌다.

그에 반해 러시아는 균형재정유가가
50달러도 되지않고 있기에 추가감산 협상에서
반대한 이유이기도 한거같다.

사우디의 균형재정유가가 80달러가 넘지만
현재 유가는 40달러 선이라 굉장히
어려운상태로 보여진다.

 

러시아는 현재 사우디와는 다르게 러시아- 독일 노드스트림 가스관을 통해 유럽에 에너지공급망을
터 논 상태이다. 이에 미국셰일가스는 유럽에
공급하기가 어려운점이 셰일채산성과 운송비용이
크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한 셈이다.

중동국가들도 배를 통해 운송하기 때문에
미국과 경쟁하게 만든다.
트럼프는 친인사쪽인 공화당이고 공화당의
뒤에는 석유재벌들이 있기에 이란제재를
통해 원유공급을 묶어버리면서 유가를 올려
셰일산업을 키워 미국의 일자리창출과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수있기 때문이다.

현재 셰일오일채산성이 40달러까지 커버할 수
있을만큼 기술이 좋아졌다.그러기에
사우디의 원유감산이 미국에게 남아도는
셰일오일파는게 이득인셈.


이러한 유가하락은 국내주요수출제품인
석유화학,조선,자동차,철강 등 이 제품들은 유가가 하락하면 수출단가도 하락하기 때문에 수출주도형 국가인 우리나라는 그리 좋지않다.



국내 증시도 저성장의 우려로
안전자산선호 현상이 커지게 되고 원화약세의
압력을 불어넣게 되고 국내투자시장의
유입이 감소하면서 외국인투자자금이
빠져나갈 수가 있다.

🆗️구독,공감 🆗️
※더 많은 정보가 알고싶다면
경제&암호화폐
블로거 이샌'
⬇️⬇️
http://bitzone.tistory.com

반응형